연구목적 및 배경 |
○ 연구목적
- 바람직한 한국인의 정신문화를 정립하려는 학문적 노력은 먼저 한국인의 실재적 가치의식 · 규범생활에 대한 정확한 진단을 토대로 가능한 것임.
- 나아가 세계화 전략도 제도 · 정책적 차원에 앞서 올바른 정신문화의 정립이 선결과제라고 본다면, 규범적 · 문화적 차원에서의 국제적 비교연구가 요구됨.
- 본 연구는 「국민의식 진단연구」의 예비연구로서, 한국인의 가치의식, 규범의식, 행동양식 등 정신문화 전반에 대한 종단연구와 국제적 횡단연구를 위한 기초 연구임.
- 본 연구는 정신문화지표 개발과 연관된 선행연구의 분석을 기초로 하여 정신문화지표의체계 시안을 마련하고, 지표측정을 위한 문항제작 및 분석방법을 제시하려는 것임.
- 이러한 연구를 통해 정신문화지표 측정을 위한 실사연구의 타당성 및 실현가능성을 검증하려는 것이 본 연구의 당초 목적임.
○ 연구배경
- 국민의식 진단을 위한 연구대상, 내용, 방법론 연구
▨ 연구영역(예시)
˚ 개인생활(자아의식, 인간관계)
˚ 가족생활(가족관, 가족경영)
˚ 사회생활(사회의식, 사회관계, 사회구조)
˚ 국가생활(국가관, 국제관계)
▨ 연구내용(예시)
˚ 개인가치의식(자아의식, 성취의식, 규범의식)
˚ 사회적 규범의식(공정성, 무사성, 일관성, 사회적 주체성)
˚ 사회의 도덕성 인식(국가이념, 사회정책, 사회적 관행)
▨ 연구방법론 탐구
˚ 양적접근법(질문지 이용)
˚ 질적접근법(면접법, 참여관찰)
˚ 비교연구 방법(한 · 중 · 일 · 미)
|
연구방법 및 내용 |
○ 연구방법
- 문헌연구(기초자료 분석, 이론화 작업)
- 워크샾(연구내용, 방법론, 이론화)
○ 연구내용
- 급격한 사회변동과 생활여건의 변화는 우리의 정신생활영역 즉, 가치 · 태도 · 규범생활에 엄청난 변화를 수반하게 되었지만, 그러나 그 변화의 양상과 추이에 관한 구체적 연구가 미진한 실정인 바, 보다 체계적인 실증적 연구가 요구됨.
- 기존의 연구가 주로 사변적, 추론적 연구이거나 특정사안에 대한 단편적 조사연구 내지는 여론조사형식에 치우치므로써, 정신문화생활 전 영역에 대한 심도있는 연구가 요청됨.
- 한국사회의 문화패턴의 문제점은 타 문화권과의 비교연구를 통해서 확인될 수 있으며, 또한 세계화 전략으로서 국제적 비교연구의 필요성이 제기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