결과보고 요약문

결과보고 요약문: 과제구분, 과제코드, 연구과제명, 연구책임자, 공동연구자, 연구기간, 연구형태, 연구목적 및 배경, 연구방법 및 내용, 연구결과물 세부 목차, 연구결과, 참고문헌, 로 구성
과제구분 한국학 기초연구/공동연구과제
과제코드 1995-교육윤리-3
연구과제명
  • 국문 : 조선시대 의례자료 체계화 연구 (II)
  • 영문 : -
연구책임자 정순우
공동연구자
  • 지두환 / 국민대학교 / 부교수
  • 김필동 / 충남대학교 / 부교수
  • 정승모 / 서울시립박물관 / 전문위원
  • 김영운 / 본원 / 부교수
연구기간 1995-01-01 ~ 1995-12-15 연구형태 공동
연구목적 및 배경

연구목적
   본 연구는 조선시대 의례관계 자료체계화를 위한 제2차년도의 사업이다.
   제1차년도는 祭禮를 중심으로 체계화 작업을 시행하였다. 즉 국가단위, 군현단위, 門中단위 및 가문단위의 祭禮의 사회적 기능을 검토하였다. 2차년도는 婚禮冠禮儀禮機能, 평민층을 중심으로 한 民間祭儀를 연구하고자 한다.

 

연구배경
   본 연구는 지역별 비교가 가능할 수 있도록 조사자를 선정 · 조직하고자 한다. 예컨대 畿湖文化圈嶺南文化圈儀禮가 가진 차이점은 무엇이고, 그러한 차이점이 나타난 사회문화적 배경이 과연 무엇인가를 검토해 보고자 한다.

연구방법 및 내용

연구방법
   문헌연구 및 조사연구

 

연구내용
   1. 각 지역별 儀禮特質 및 성격(嶺南文化圈, 畿湖文化圈)
   2. 각 시기별 儀禮의 특질 및 성격(조선전기, 조선중후기, 근대)
   3. 儀禮의 사회통합 및 해체기능

연구결과물 세부 목차
연구결과

   당초 계획대로 사업을 완료함. (1,700 페이지에 달하는 자료집 출간준비 완료). 금년도에는 전년도에 다루지 못한 祭禮에 관한 부분을 추가 작업하고, 古文書 속에 산견되는 의례 관련자료를 목록화하고 자료화 하였다.

참고문헌

지두환, 조선전기 의례연구, 서울대 출판부, 1984.
안호룡, 조선전기 상제의 변천과 그 사회적 의미, 고려대 박하학위 논문, 1989.
이범직, 조선전기의 五禮家禮, 1990.
김해연, 조선초기 祀典에 관한 연구, 1994.

기타

기타: 내용으로 구성
내용
TOP
전체메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