결과보고 요약문

결과보고 요약문: 과제구분, 과제코드, 연구과제명, 연구책임자, 공동연구자, 연구기간, 연구형태, 연구목적 및 배경, 연구방법 및 내용, 연구결과물 세부 목차, 연구결과, 참고문헌, 로 구성
과제구분 한국학 기초연구/공동연구과제
과제코드 1995-교육윤리-2
연구과제명
  • 국문 : 禮學에 관한 体系化 綜合硏究
  • 영문 : -
연구책임자 허창무
공동연구자
  • 곽진 / 상지대학교 / 부교수
  • 장철수 / 본원 / 교수
  • 박병련 / 본원 / 부교수
연구기간 1995-12-12 ~ 1996-06-14 연구형태 공동
연구목적 및 배경

연구목적
   조선시대의 문화와 사회를 종합적으로 이해하기 위해서는 지배계층에 의해 지배이념으로 채택된 성리학이 갖는 2개의 측면, 즉 철학적 원리로서의 도학과 사회적 수단으로서의 예학이 종합적으로 규명되어야 한다. 그러나 현재까지는 철학적 연구에 치중하고 있을 뿐, 그 사회적 성격에 대해서는 겨우 일부의 연구자에 의해서 연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더구나 성리학의 사회적 성격은 현대 한국의 산업사회가 내포하고 있는 제반사회질서의 문제와 연관시켰을 때, 전통적 사회질서의 중요한 내용을 이루었던 예학에 대한 종합적 연구는 시급한 실정이다.
   따라서 예학에 관한 제반 사회과학적 연구의 필요성, 즉 정치학, 경제학, 사회학, 민속학, 교육학, 윤리학 등의 학제적 공동연구의 필요성이 절실히 요구된다.

 

연구배경
   ⊙ 우리나라 학계에서 예학에 관한 연구는 역사적 사건을 중심으로 한 역사학계의 연구가 대종을 이루고 있을 뿐, 사회과학적 연구는 거의 없었다. 따라서 사회과학의 공동연구를 위한 기초적 연구, 즉 예서의 저술상황, 시대별 지역적 색론적 분포, 국가제도와 정책 결정과정과 예학, 조선의 예학에 끼친 중국 예학의 영향 등에 대한 기초자료의 파악과 내용분류에 대한 종합적 연구와 함께 사회과학적 연구의 가능성을 점검하기 위하여는 최소한 3년간의 연속적 연구가 필요하다. 따라서 금년도의 예비적 연구를 바탕으로 하여 2-3차년도에는 다른 사회과학적 분야의 연구와 접근방법으로 확대할 예정이다.

   ⊙ 그간 예론에 대한 연구는 일반적으로 역사학계가 주도하면서, 긍정적인 평가보다는 부정적인 평가로 일관해 왔다. 앞으로는 인문과학의 연구노력보다 사회과학 제분야에서 전통사회 우리 삶의 모습에 지대한 영향을 끼쳤던, 규범학으로서의 예학과 제도학으로서의 예학을 종합적으로 체계화 하여, 예학의 이론과 제도 응용을 연구 · 분석한다면, 한국 사회과학이 추구하는 연구대상의 폭을 넓힐 수 있을 것 같다. 이러한 가설을 갖고 본 연구를 장기과제화 할 필요성을 느낀다.

 

자료
   이와 관련된 자료는 四厙全書, 實錄類, 文集類 등과 같이 너무 방대하여 일일이 기록하지 못함.

연구방법 및 내용

연구방법
   문헌연구

 

연구내용
   시대별 · 분야별 · 학파별 · 색논별 · 지역별로 최소한 3년간(전기 · 중기 · 후기) 장기과제화 할 필요가 있다. 1차년도는 조선전기로 국한한다.

 

   1. 한국 예학형성에 미친 중국의 예설들(허창무)
   2. 조선초기 예학이론과 예서의 지역별 분포현황(장철수)
   3. 예학이론과 조선초기 정책 결정과의 관계(박병련)
   4. 예학이론과 조선초기 제도정립과의 관계(곽진)

연구결과물 세부 목차
연구결과

   ① 중국예약사상이 조선조이전까지 우리나라에 어떻게 전개되었을까 하는 가정하에서 변모양상을 개관하였고, 그렇다면 어떠한 중국의 예서들이 조선조에 지대한 영향을 미쳤을까 하는 의문에서 중국의 예서들을 소개하게 되었다. 다음으로 조선초기 예학의 내용을 구명하면서 우리나라의 지역별 분포도를 작성하였고, 끝으로 유교적 왕조체제를 유지해온 조선조초기에 있어서 예학의 함의를 찾아 오늘 사회에 있어서 예학의 활용방안성을 탐색해 보았다.

참고문헌

기타

기타: 내용으로 구성
내용
TOP
전체메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