결과보고 요약문

결과보고 요약문: 과제구분, 과제코드, 연구과제명, 연구책임자, 공동연구자, 연구기간, 연구형태, 연구목적 및 배경, 연구방법 및 내용, 연구결과물 세부 목차, 연구결과, 참고문헌, 로 구성
과제구분 한국학 기초연구/공동연구과제
과제코드 1995-교육윤리-1
연구과제명
  • 국문 : 한국교육 사료의 수집 · 정리 · 체계화 (VI) ㅡ한국전쟁 전후기 편ㅡ
  • 영문 : -
연구책임자 이길상
공동연구자
  • 오만석 / 본원 / 부교수
연구기간 1995-01-01 ~ 1995-12-15 연구형태 공동
연구목적 및 배경

연구목적
   1. 정부수립 초기 및 한국전쟁기의 교육관계 문헌자료를 수집함(신문 · 잡지 · 관보 · 단행본 · 연감 · 기타)
   2. 수집된 자료를 정리하고 분리하여 전산입력함.
   3. 데이터 베이스화하며 자료의 과학적 이용을 가능하도록 함.

 

연구배경
   정부수립 초기 및 한국전쟁기의 교육관계 연구는 극히 부진한 상태이다. 전쟁으로 인한 교육의 혼란도 주요한 이유이지만 무엇보다도 관련 자료의 체계적 정리가 미흡한 데서 비롯되었다. 1차자료에 대한 수집과 정리, 특히 전산화를 통한 자료의 과학적 관리가 절실히 요망된다.

 

수집 및 정리 대상자료
   1) 잡지 : ˚ 미군정기에 창간되어 계속 간행된 교육전문잡지(조선교육, 새교육 등)
                    ˚ 48. 8 이후 창간된 교육전문잡지(국어교육, 교육연구, 교육문화 등)
                    ˚ 기타 해당기간에 간행된 일반잡지의 교육관계 내용
   2) 校誌 : 각급 학교 발행의 교지(大友, 梅花, 淑明, 배꽃 등)
   3) 신문 : ˚ 미군정기에 창간 · 속간되어 계속 발행된 신문(동아일보, 서울신문, 조선일보 등)
                    ˚ 대학신문(서울대학 신문 등)
   4) 관보
   5) 교육관계 단행본
   6) 연감류(조선년감 등)

연구방법 및 내용

연구방법
   1. 1차자료의 수집
   2. 수집된 자료의 내용분석, 정리
   3. 전산화 · 데이터베이스화
   4. 출판을 위한 전산 편집

 

연구내용
   주요자료의 데이터 베이스화를 통해 한국전쟁 전후기 교육연구의 과학적 수준을 제고할 수 있을 것임.

연구결과물 세부 목차
연구결과

1. 교육관계 잡지 및 신문기사에 관한 해제
   (목록 포함: 100)

2. 잡지 복사물 (33)
3. 신문 복사물 (동아일보, 서울신문)
4. 신문 전산처리 결과 Diskett.

참고문헌

기타

기타: 내용으로 구성
내용
TOP
전체메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