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목적 및 배경 |
○ 연구목적
광복후 중도좌파 진영이 갖고 있던 정치사상을, 배성룡의 「신형민주주의」론과 백남운의 「연합성신민주주의」론, 여운형의 「부르조아민주주의」론 등을 중심으로 하여 살피고, 그것들이 가지는 공통적 특징 및 차이점들과 한국정치사상사 – 정치사 속에서 가지는 성격과 의의를 분석하고자 함.
○ 연구배경
연구자는 광복후의 중도파운동과 사상에 대한 체계적 · 종합적인 연구의 일환으로, '92년에는 중도우파의 정치사상을 다루었던 「광복후 중도민족세력의 정치사상」을 수행한 바 있고, '93년에는 좌우합작운동과 그 추진세력을 살핀 「광복후의 중도파와 통일운동」 제하의 연구를 수행한 바 있음.
이 연구는 광복후 중도파운동과 사상에 대한 세 번째 연구로서 중도좌파의 정치사상을 대상으로 한 것이며, 장차는 「광복후의 중도파운동과 사상」이라는 제하의 단행본으로 엮을 것을 염두에 두고 있음.
○ 자료
▨ 제1차 자료
배성룡, 백남운, 여운형의 저술들, 인민당 · 근민당 · 신민당 등 정당 관련문헌, 기타 당시의 신문 · 잡지, 「미군정활동보고서」 등
▨ 제2차 자료
심지연, 「인민당연구」, 「조선신민당연구」, 「김두봉연구」, 「조선혁명론연구」, 「해방정국논쟁사」 등
김기승, 「배성룡의 정치경제사상연구」, 고려대 박사학위논문, 1990.
방기중, 「백남운의 정치경제사상연구」, 연세대 박사학위논문, 1991.
이기형, 「몽양여운형」, 실천문학사, 1985.
한승조 외, 「해방전후사의 쟁점과 평가」 1,2, 형설출판사, 1990.
김준엽, 김창순, 「한국공산주의운동사」 1-5, 고대 아세아문제연구소, 1975.
스칼라피노, 이정식, 「한국공산주의운동사」 2, 돌베개, 1986.
동아일보사 편, 「현대사를 어떻게 볼 것인가」 1,2, 1988, 1990.
돌베개 편, 「한국현대사의 재조명」 (1982), 「해방40년의 재인식 1,2」 (1985)
서중석, 「한국현대민족운동연구」, 역사비평사, 1991.
최장집 편, 「한국현대사 1」, 열음사, 1988.
송남헌, 「한국현대정치사」 1, 성문각, 1980.
한길사 편, 「해방전후사의 인식」 1,2,3,4,5,6, 1980-1989.
해방3년사연구회, 「해방정국과 조선혁명론」, 대야출판사, 1988.
서울대 한국현대사연구회, 「해방정국과 민족통일전선」, 세계, 1987. 등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