결과보고 요약문

결과보고 요약문: 과제구분, 과제코드, 연구과제명, 연구책임자, 공동연구자, 연구기간, 연구형태, 연구목적 및 배경, 연구방법 및 내용, 연구결과물 세부 목차, 연구결과, 참고문헌, 로 구성
과제구분 한국학 기초연구/공동연구과제
과제코드 1995-정치경제-9
연구과제명
  • 국문 : 세계질서의 변화와 한국의 대응
  • 영문 : -
연구책임자 김양명
공동연구자
  • 이기원 / 본원 / 교수
  • 강광식 / 본원 / 교수
  • 도성달 / 본원 / 조교수
  • 전정환 / 국방대학원 / 교수
  • 하영선 / 서울대학교 / 교수
연구기간 1995-01-01 ~ 1995-07-31 연구형태 공동
연구목적 및 배경

연구목적
   세계질서의 급격한 변화에 비추어
   1. 동북아시아 국제체제의 변화를 전망하고,
   2. 한반도의 통일과 평화정책을 실현하는 가장 바람직한 방향을 구상하고,
   3. 국제상황의 도전을 극복할 주체적 대응논리를 탐색하고자 함.

 

연구배경
   김영삼 정부가 들어서면서 적극 추진하고 있는 세계화 정책은 비단 국내적 요인만이 아니라 국제적 요인에 의해서 더욱 가속화되고 있는 실정이다. 국가간의 경쟁은 더욱 치열해지고 있고, 특히 경제적 갈등은 무기없는 전쟁으로 불리울 정도로 첨예화되고 있다. 이러한 갈등은 우리나라를 향한 전 부문의 시장개방 압력으로 나타나고 있다. 정치면에 있어서도 북한과 미국의 접근은 우리나라의 외교정책 자체에 대한 새로운 검토 및 강화를 요구하는 현실이다. 이러한 현실적 배경에 대한 대처방안의 논의가 본 연구의 기저를 이룬다.

연구방법 및 내용

연구방법
   세계질서의 변화에 따른 우리의 대응을, 국제체제, 통일문제, 사회정의와 국제정의 간의 관계, 한국교육의 문제 등의 문제로 나누어서 각 연구자별로 나누어서 진행.

 

연구내용
   그동안 우리의 체제는 민족주의적, 체제 이데올로기 대립적인 인식에 의해 유지되어 왔다. 그러나 동서 이데올로기 대립이 소멸되어가고, 국민주권적인 국경이 점차로 의미를 잃어가는 지금, 새로운 발상의 전환이 요구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민족주의의 세계화라는 문제에 초점을 두고, 그 조화 및 더 나아가서 확산에 논의의 중점을 두고자 한다. 세계화의 도중에도 민족주의간의 갈등이 주요한 문제로 대두될 것이기 때문이다.

연구결과물 세부 목차
연구결과

1. 세계질서의 변화와 한국의 대응 : 주제발표(이기원)
2. 냉전종식과 동북아 국제체제의 전망(전정환)
3. 한반도의 평화구상(하영선)
4. 국제질서의 이념으로서의 정의(도성달)

참고문헌

기타

기타: 내용으로 구성
내용
TOP
전체메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