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목적 및 배경 |
○ 연구목적
세계질서의 급격한 변화에 비추어
1. 동북아시아 국제체제의 변화를 전망하고,
2. 한반도의 통일과 평화정책을 실현하는 가장 바람직한 방향을 구상하고,
3. 국제상황의 도전을 극복할 주체적 대응논리를 탐색하고자 함.
○ 연구배경
김영삼 정부가 들어서면서 적극 추진하고 있는 세계화 정책은 비단 국내적 요인만이 아니라 국제적 요인에 의해서 더욱 가속화되고 있는 실정이다. 국가간의 경쟁은 더욱 치열해지고 있고, 특히 경제적 갈등은 무기없는 전쟁으로 불리울 정도로 첨예화되고 있다. 이러한 갈등은 우리나라를 향한 전 부문의 시장개방 압력으로 나타나고 있다. 정치면에 있어서도 북한과 미국의 접근은 우리나라의 외교정책 자체에 대한 새로운 검토 및 강화를 요구하는 현실이다. 이러한 현실적 배경에 대한 대처방안의 논의가 본 연구의 기저를 이룬다.
|
연구방법 및 내용 |
○ 연구방법
세계질서의 변화에 따른 우리의 대응을, 국제체제, 통일문제, 사회정의와 국제정의 간의 관계, 한국교육의 문제 등의 문제로 나누어서 각 연구자별로 나누어서 진행.
○ 연구내용
그동안 우리의 체제는 민족주의적, 체제 이데올로기 대립적인 인식에 의해 유지되어 왔다. 그러나 동서 이데올로기 대립이 소멸되어가고, 국민주권적인 국경이 점차로 의미를 잃어가는 지금, 새로운 발상의 전환이 요구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민족주의의 세계화라는 문제에 초점을 두고, 그 조화 및 더 나아가서 확산에 논의의 중점을 두고자 한다. 세계화의 도중에도 민족주의간의 갈등이 주요한 문제로 대두될 것이기 때문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