결과보고 요약문

결과보고 요약문: 과제구분, 과제코드, 연구과제명, 연구책임자, 공동연구자, 연구기간, 연구형태, 연구목적 및 배경, 연구방법 및 내용, 연구결과물 세부 목차, 연구결과, 참고문헌, 로 구성
과제구분 한국학 기초연구/단독논문게재형과제
과제코드 1995-정치경제-5
연구과제명
  • 국문 : 냉전으로부터 탈냉전으로
  • 영문 : -
연구책임자 이기원
공동연구자
  • - / - / -
연구기간 1995-01-01 ~ 1995-12-15 연구형태 단독
연구목적 및 배경

연구목적
   8·15해방이후 국제관계의 변화를 구명함으로써 국제질서의 축이 냉전으로부터 탈냉전으로 변화하는 과정을 조명코자 함.

 

연구배경
   2차 세계대전이후 세계질서는 미국과 소련을 중심으로 한 양국체제의 성격을 가졌다. 그러나 50-60년대의 냉전기를 지나 70년대에 들어서면서 미 · 중수교, · 소간의 전략무기 감축협상 등 화해분위기가 조성되었으며 중동지역의 평화조약이 부분적으로 체결되기도 하였다(이스라엘 · 이집트). 이러한 화해무드와는 그 근본성격이 틀리기는 하지만 한반도에는 남 · 북한 각각의 지배체제를 강화시키는 결과를 가져온 7 · 4 남북공동성명이 발표되었다. 80년대 중반에 이르러서는 소련의 고르바쵸프가 페레스트로이카와 글라스노스트를 주창하고 나섬에 따라 소연방의 해체, 동구공산권의 잇달은 몰락을 초래하였고 세계질서의 중심축은 미 · 소 양극체제에서 미국을 중심으로 하는 새로운 질서 재편이 이루어졌다. 본 연구는 이렇게 극심한 부침을 거듭해온 국제질서의 변화과정을 고찰함으로써 냉전으로부터 탈냉전으로변화해 간 근본요인을 조명코자 한다.

연구방법 및 내용

연구방법
   연구자가 그간 쌓아온 연구결과 및 학계의 연구성과를 정리 · 분석

 

연구내용
   1950년대 국제관계
   1960년대 국제관계
   1970년대 국제관계
   1980년대 국제관계

연구결과물 세부 목차
연구결과

   그동안 우리의 체제는 민족주의적, 체제 이데올로기 대립적인 인식에 의해 유지되어왔다. 그러나 동서 이데올로기 대립이 소멸되어가고, 국민주권적인 국경이 점차로 의미를 잃어가는 지금, 새로운 발상의 전환이 요구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민족주의의 세계화라는 문제에 초점을 두고, 그 조화 및 더 나가서 확산에 논의의 중점을 두었다. 세계화의 도중에도 민족주의간의 갈등이 주요한 문제로 대두될 것이기 때문이다.

참고문헌

기타

기타: 내용으로 구성
내용
TOP
전체메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