결과보고 요약문

결과보고 요약문: 과제구분, 과제코드, 연구과제명, 연구책임자, 공동연구자, 연구기간, 연구형태, 연구목적 및 배경, 연구방법 및 내용, 연구결과물 세부 목차, 연구결과, 참고문헌, 로 구성
과제구분 한국학 기초연구/공동연구과제
과제코드 1995-정치경제-4
연구과제명
  • 국문 : 한국 사회보장 30년의 성과와 향후 과제
  • 영문 : -
연구책임자 유광호
공동연구자
  • 이혜경 / 연세대학교 / 교수
  • 최성재 / 서울대학교 / 부교수
연구기간 1995-01-25 ~ 1996-06-30 연구형태 공동
연구목적 및 배경

연구목적
   1995년부터 한국에 고용보험제도가 도입되면 한국의 사회보장제도는 아동수당 등 사회수당을 제외하고는 선진국에서 실시하고 있는 모든 제도를 갖추게 됨. 이러한 외형상의 완비는 지난 30년간에 이루어진 성과로서 크게 평가할 만함. 그럼에도 불구하고 한국의 사회보장제도는 아직 적용대상, 급여수준, 재원조달과 관리, 전달체계 등 내용면에서 취약한 부분이 매우 많다는 지적을 받고 있음. 본 연구는 1995년도 고용보험제도의 도입을 계기로 1961년 이후 30년간 한국사회보장제도의 발달과정과 그 성과를 평가하고, 향후 한국사회보장제도의 과제를 도출하기 위해 시도하는 것임.

 

연구배경
   현재까지 한국 사회보장제도의 현황을 소개하는 논저는 몇 편이 있으나, 사회보장제도의 도입 이후 발달사를 서술한 논저는 한권도 없기 때문에 '60년 이후 법률, 자료, 논저 등을 집중적으로 수집하여 분석하는 작업이 집필 이전에 선행되어야 할 중심업무라고 예상됨. 따라서 우선 아래와 같은 자료를 수집하고자 함.
      - 1960공무원 연금법에서 1994고용보험에 이르기까지의 사회보장 관련 각종 법률.
      - 보사부, 노동부, 충무처 등 정부기관과 국민연금관리공단, 의료보험 조합연합회 등에서 발행한 각종 통계 및 실태자료.
   자료가 수집되면 분석과 집필시에 국내외 이론서 등을 참고자료로 활용할 예정임.

연구방법 및 내용

연구방법
   관련 자료를 수집하여 분석하고 서술하는 문헌연구를 행함.

 

연구내용
   1장 서언
   2장 한국 사회보장 50년의 개관
   3장 연금보험제도
   4장 산업재해보상보험제도
   5장 의료보험제도
   6장 고용보험제도
   7장 공적부조제도
   8장 사회복지 서비스
   9장 한국사회보장제도의 향후 과제

연구결과물 세부 목차
연구결과

목차에서 보듯이 전체가 9장으로 구성되어 있고 200자 원고지 약 1300매임.

참고문헌

기타

기타: 내용으로 구성
내용
TOP
전체메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