결과보고 요약문

결과보고 요약문: 과제구분, 과제코드, 연구과제명, 연구책임자, 공동연구자, 연구기간, 연구형태, 연구목적 및 배경, 연구방법 및 내용, 연구결과물 세부 목차, 연구결과, 참고문헌, 로 구성
과제구분 한국학 기초연구/단독논문게재형과제
과제코드 1995-정치경제-3
연구과제명
  • 국문 : 「한국정치사상사 자료선집」(조선시대편) 편찬을 위한 예비연구
  • 영문 : -
연구책임자 강광식
공동연구자
  • - / - / -
연구기간 1995-01-01 ~ 1996-06-15 연구형태 단독
연구목적 및 배경

연구목적
   한국정치사상사의 연구 및 강좌에 필요한 기본적 문헌자료의 체계화를 통해 관련학계, 특히 각 대학 학부 및 대학원 석 · 박사과정에서 기본교과로 활용될 교재 집필 준거지침 개발 한국정치사상사기본교재 집필을 위한 예비 연구.

 

연구배경
   • 한국정치사상사는 국내 각 대학의 정치학 분야 학부 및 대학원 석 · 박사과정의 기본교과목인데도 불구하고 체계적으로 개발된 교재가 전무한 실정이나 교재개발을 위한 관련학계 전반의 준비태세가 미비하여 교재개발이 현재에 이르기까지 지체되고 있음.
   • 본 연구에서는 교재개발 지체의 핵심적 원인이 기본적 문헌자료의 체계적 수집 · 정리 작업의 미비에 있다고 보고, 분야별 · 시기별로 산발적인 연구추진 양상을 보여주고 있는 관련분야 기존연구를 바탕으로 자료선집 편찬체계를 도출하여 예의 교재개발을 위한 준비작업으로서 우선 조선조편 자료선집을 편찬할 필요가 있음.
   • 체계성이 결여된 것이나마 자료선정상의 유의점이나 선정자료의 묶음을 수록하고 있는 기존 연구물을 예시하면 다음과 같음.
      - 이태진(), 한국사상사 자료선집, 조선초 · 중기편(아세아문화사, 1983)
      - 근대사연구회(), 한국 중세사회 해체기의 제문제 : 조선후기사 연구의 현황과 과제, 정치사상편(한울, 1987)

연구방법 및 내용

연구방법
   • 시대별 · 분야별 주요 사상가의 저술(문집)과 그들의 활동상을 기록한 실록에 대한 문헌연구
   • 관련 전문가 집단의 워크샾에 의한 편집체계 정립
   • 위의 편집체계에 의거한 주요 문헌자료의 목록화

 

연구내용
   • 시대별 · 분야별 문헌자료의 편집 체계
      - 전기 : 이론(교리) · 정책 · 제도
      - 중기 : 이론(교리) · 정책 · 제도
      - 후기 : 이론(교리) · 정책 · 제도
   • 위의 편집체계에 의한 주요 문헌자료 목록

연구결과물 세부 목차
연구결과

1. 문제의 제기
2. 조선시대 사상사 연구 현황 분석: 문제의 소재와 방향(I)
3. 조선시대 정치구조 연구 현황 분석: 문제의 소재와 방향(II)
4. 자료선집 편찬을 위한 준거틀 모색
   (1) 대상 자료의 기본적 소재 (문헌자료 목록)
   (2) 자료 선정 기준(시각)

참고문헌

기타

기타: 내용으로 구성
내용
TOP
전체메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