결과보고 요약문

결과보고 요약문: 과제구분, 과제코드, 연구과제명, 연구책임자, 공동연구자, 연구기간, 연구형태, 연구목적 및 배경, 연구방법 및 내용, 연구결과물 세부 목차, 연구결과, 참고문헌, 로 구성
과제구분 한국학 기초연구/단독논문게재형과제
과제코드 1995-사회민속-3
연구과제명
  • 국문 : 광복이후 남북한 언론의 실상과 통일이후 언론상 모색 (예비연구)
  • 영문 : -
연구책임자 김복수
공동연구자
  • - / - / -
연구기간 1995-01-01 ~ 1995-12-15 연구형태 단독
연구목적 및 배경

   광복이후 남북한 언론의 형성 및 변화과정, 사회적 역할 등을 비교 검토하고, 이를 바탕으로 통일이후의 언론상을 모색해 보고자 함. 그러나 알다시피, 광복이후 50년간의 남북한 사회 변화와 언론의 역할, 그리고 통일이후의 언론상 정립이라는 문제는 매우 심대하고, 많은 논의과정을 거쳐야 할 문제이기 때문에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연구를 심도있게 추진하기 위한 예비적 연구의 성격을 띨 수밖에 없다. 따라서 본 연구는 규범적인 측면에서 남북한 언론을 위한 문제제기에 초점을 맞추어 연구를 추진할 것임.

연구방법 및 내용

연구방법
   문헌연구
   기존 연구를 문제 쟁점 중심으로 정리
   남북한 언론을 몇 가지 카테고리로 나누어 분석
   2000년대 사회와 언론의 위상 검토
   통일이후 언론상 모색

 

연구내용
   1. 남한 사회언론은 권위주의적 언론, 자유민주주의적 언론, 신권위주의적 언론의 과정을 거쳐 사회책임주의적 언론의 양상을 보일 것이다.
   2. 북한의 언론은 소비에트 공산주의 언론에 충실하면서도 북한의 주체사상에 입각한 독특한 언론의 양상을 보일 것이다.
   3. 앞으로의 사회에서는 수용자 중심의 매우 다양하고 전문적인 언론양상이 나타날 것이다.
   4. 통일 이후에는 이 두 양상이 슬기롭게 조화될 수 있고, 미래 사회적 상황까지도 인식한 새로운 상이 모색되어야 할 것이다.

연구결과물 세부 목차
연구결과

    광복이후 남북한 언론의 실상을 기존연구의 검토, 남북한 언론의 성격, 그리고 언론정책을 통해 검토하고 통일환경 조성을 위한 언론의 역할과 문제점을 제시하였음.

참고문헌

남북한에서 발행된 주요신문, 잡지, 방송내용

리용필, 조선신문 100년사, 북한저작
언론과 사회, 민중사, 1983
정진석, 한국언론사론전예원, 1985
김민남외 공저, 새로쓰는 한국언론사, 아침, 1988
고란 헤데브로저, 안광식 역, 커뮤니케이션과 사회변동, 이화여대 출판부, 1984
김영주 등 공저, 북한 언론의 이론과 실천, 나남, 1991
정진석, 한국언론사, 나남, 1990

기타

기타: 내용으로 구성
내용
TOP
전체메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