결과보고 요약문

결과보고 요약문: 과제구분, 과제코드, 연구과제명, 연구책임자, 공동연구자, 연구기간, 연구형태, 연구목적 및 배경, 연구방법 및 내용, 연구결과물 세부 목차, 연구결과, 참고문헌, 로 구성
과제구분 한국학 기초연구/공동연구과제
과제코드 1995-인문-1
연구과제명
  • 국문 : 한국 인문과학의 현황과 쟁점(III)
  • 영문 : -
연구책임자 허흥식
공동연구자
  • 권희영 / 본원 / 부교수
  • 김건곤 / 본원 / 조교수
  • 이형구 / 선문대학교 / 교수
  • 박용운 / 고려대학교 / 교수
  • 박천식 / 전북대학교 / 교수
연구기간 1995-02-01 ~ 1996-06-14 연구형태 공동
연구목적 및 배경

연구목적
   학문 성과를 비판하고 종합하면서 방향 제시의 기능을 담당하기 위한 주제를 설정하여 학계의 관심과 수요에 부응하도록 한다.

 

연구배경
   한국중세사회에 대한 연구는 80년대 이후 사회의 급격한 변동을 학술적으로 이해하고 이를 체계화하기 위하여 각 방면에서 활발하게 진행되었다. 해당된 주제로는 가족, 친족, 여성, 상속지(*판독 미흡), 지배층의 형성과 변화, 인구, 거주지의 이동, 신분제, 사회사상 등 다방면으로 연구성과가 축적되었다.
   자료상으로도 正史를 비롯하여 古文書, 金石文, 文集 등을 광범위하게 이용하고, 이를 수집하여 간행된 사례도 많다. 또한 인물의 傳記를 중심적으로 분석하여 삶과 신분에 대한 깊이있는 연구가 이루어져 왔으나 각 분야의 성과가 각기 다른 결론에 이르거나 문제점이 깊이 있게 설명되지 못한 분야도 많다.

연구방법 및 내용

연구방법
   현황과 시론을 제시하고 각 분야의 쟁점으로 부각시킬 수 있는 주제를 제시하고, 연구 방향과 이론 정립을 유도한다.

 

연구내용
   각 분야의 연구에서 사회사에 해당된 주제에 따라 현재까지의 성과와 문제점을 부각시키고 연구진행 과정과 異論의 해결 방향을 제시한다.

연구결과물 세부 목차
연구결과

   인문과학에서 학계의 쟁점으로 부각된 문제점을 부각시키고, 이에 대한 집중적인 소개와 성과를 정리하고, 방향을 설정하였음.

참고문헌

기타

기타: 내용으로 구성
내용
TOP
전체메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