결과보고 요약문

결과보고 요약문: 과제구분, 과제코드, 연구과제명, 연구책임자, 공동연구자, 연구기간, 연구형태, 연구목적 및 배경, 연구방법 및 내용, 연구결과물 세부 목차, 연구결과, 참고문헌, 로 구성
과제구분 한국학 기초연구/공동연구과제
과제코드 1995-예술-3
연구과제명
  • 국문 : 일본 고대 미술에 나타난 한국적 요소 재조명
  • 영문 : -
연구책임자 이성미
공동연구자
  • 김리나 / 홍익대학교 / 교수
  • 최건 / 해강미술관 /
  • 김동현 / 문화재연구소 /
  • 이난영 / 동아대학교 /
연구기간 1995-06-01 ~ 1995-10-31 연구형태 공동
연구목적 및 배경

   올해 광복50주년을 맞이하여 정치, 경제, 문화 각 분야에서 · 관계를 재조명해 볼 기회를 갖게 되어 이번 세미나의 주제도 그와 같은 맥락에서 정하고 일본 고대미술을 회화, 불교조각, 도자기, 건축, 금속공예 등 다섯 분야로 나누어 한국적 요소를 검토하기로 함.
   현재 일본에 남아 있는 奈良시대 또는 그 이전의 건축, 회화, 불교조각, 금속공예, 도자기 등에서 한국(삼국~통일신라)의 영향이 구체적으로 어떻게 나타났으며, 또한 한국에서 제작되었을 가능성이 짙은 유물들의 실상을 파악해 보고자 함.

연구방법 및 내용

연구방법
   1. 기존의 한일문화사 관계논문 섭렵
   2. 日本書記중 한국관계 기사분석
   3. 현재 유물 중 특정유물에 나타나는 한국적 요소 분석
   4. 새로운 발굴자료(특히 도자기 분야) 분석

 

연구내용
   건축, 회화, 조각, 도자기, 금속공예 등 현재 일본의 아스카~나라시대의 작품이라고 전해오는 많은 것들 중 한국의 영향이 강하게 나타나는 것들, 한국에서 만들어졌을 가능성이 있는 것들을 탐구해 봄.

연구결과물 세부 목차
연구결과

   일본의 奈良 時代까지를 下限으로 하여 주로 아스카(飛鳥)시대와 하쿠로(白鳳)시대의 미술에 나타난 한국의 영향을 회화, 불교조각, 도자기, 건축, 금속 공예의 다섯 분야로 나누어 살펴본 것.

참고문헌

1. 原色版 日本國寶, 1,2,3
2. 安輝濬, 三國시대 繪畵日本傳播
   『國史館論叢10, 1989.
3. 韓國古代文化隣接文化와의 關係, 한국정신문화연구원, 1981.
4. 李進熙, 韓國日本文化(을유문화사, 1982)
5. 姜仁求, 李成美 北韓韓國學硏究成果分析歷史, 예술련.
   • 中 論文 多數
      《日本書記
      《佛敎□□(*판독 미흡)
   《國華
   《法院寺(日本美術 4), 平凡社, 1979.
   《高松塚古墳(日本美術 6) 至文堂, 1984.
外 各 분야별 多數

기타

기타: 내용으로 구성
내용
TOP
전체메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