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목적 및 배경 |
○ 연구목적
(1) 한국고전소설의 완전한 이해를 위하여 어려운 단어, 한자숙어, 고사성어, 인용된 한시 등을 주석함.
(2) 대학 및 대학원의 고전소설강독에 필수적인 참고서가 되게 함.
(3) 국어사전에 이런 단어들이 빠져 있어, 국어사전을 완전하게 하게 함.
(4) 고전소설의 현대어화에 참고서가 되게 함.
○ 연구배경
민족문화를 계승하고 이를 발전시킴에 있어, 우리 고전문학을 이해하게 하는 데는 본 연구가 꼭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이와 같은 연구배경은 곧, 한국고전소설을 완전히 이해하는 데 길잡이가 될 수 있을 것이다.
고전소설에 나타난 단어, 어구, 인용구 등은 우리의 언어생활을 풍부하게 하며 문학예술을 발전시킬 수 있다는 가능성에 바탕을 두고 있다. 한편 대학이나 대학원에서 고전소설을 연구함에 있어 필수적인 참고문헌이 되어야 하겠다는 생각에서 이 연구과제를 택하게 되었다.
실제로 남아 있는 고전소설에서 어구, 단어, 인용구, 난해한 문법 등이 사전에 등재되어 있지 않다. 그러므로 국어사전을 완전하게 만들어야 하겠다는 점도 이 연구의 배경이 되었다.
|
연구방법 및 내용 |
○ 연구방법
※ 연구자료인 고전소설을 복사하여 배포한 뒤,
1. 표제어 작성: 공동연구자들이 표제어를 작성하고 이를 협의 후 확정함
2. 표제어 해독 및 주석: 분담한 표제어를 통일된 형식에 따라 작성함
3. 초고의 검토: 작성된 초고를 공동연구자들이 서로 검토하고 잘못된 내용을 수정함
4. 보고서 작성: 연구자들의 결과물을 취합하여 보고서로 작성함
○ 연구내용
1. 한자계 단어, 고사성어, 인용한시, 인명, 지명 등의 해석 및 주석
2. 고어로 된 수순 국어단어 및 난해한 문법의 설명
3. 한자어를 한자로 표기하고 그 뜻을 풀이함
4. 표기법이 다른 예들을 현대국어 ‘한글맞춤법’으로 고침
5. 변화된 단어를 문법적으로 설명함
|
연구결과 |
한국고전소설 독해사전이 반드시 있어야 하겠다는 학계 및 일반대중의 요청에 따라, 될 수 있는 대로 우리나라 고전소설작품 모두를 표제별로 주석하게 되었다. 그 연구결과는 난해한 단어, 더 이상 쓰이지 않는 고어, 한자숙어, 고사성어, 인용된 한시의 어구, 고어문법 등이 표제가 되었다. 이 표제들을 현대국어로 주석하였다. 부분적으로는 미해결의 문제로 남은 것도 있다. 이는 사전원고로 최종 정리할 때 보충하게 될 것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