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제구분 | 한국학 기초연구/공동연구과제 | ||
---|---|---|---|
과제코드 | 1995-역사-2 | ||
연구과제명 |
|
||
연구책임자 | 정구복 | ||
공동연구자 |
|
||
연구기간 | 1995-01-01 ~ 1996-06-14 | 연구형태 | 공동 |
연구목적 및 배경 | 광복 50년이 지난 현 시점에서 그간 한국 역사학계의 연구성과를 총정리해 봄으로써 아직 연구가 미진한 분야 또는 보완해야 할 점을 제시하여 앞으로의 연구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는 민족사관 정립을 위한 기초를 확립하기 위함이다. |
||
연구방법 및 내용 | ○ 연구방법 1. 분야별 목차에 대해 연구사적인 방법으로 정리한다. 그러나 단순한 평이 아니라 연구상의 방법론, 문제의식, 자료의 해석 등에 대한 문제도 다루고 매 장의 끝 부분에는 앞으로 연구되어야 할 문제, 방법, 시각 등도 서술한다.
○ 연구내용 1. 조선시대 정치 연구 성과 정리 |
||
연구결과물 세부 목차 | I. 총론 / 정구복
II. 조선시대 학술 · 사상 연구성과 정리 / 정구복
III. 조선시대 정치 연구성과 정리 / 박광용
IV. 조선시대 경제 연구성과 정리 / 이영훈
V. 조선시대 사회 연구성과 정리 / 최진옥
VI. 조선시대 교육 · 과거 · 인쇄문화 연구성과 정리 / 박연호 |
||
연구결과 | 광복 50년의 한국사(조선시대) 연구 성과를 1) 총설 2) 학술과 사상 3) 정치 4) 경제 5) 사회 6) 교육 문화로 나누어 연구성과를 정리하고 주요 쟁점 사항을 소개하고 앞으로의 연구 전망을 다루었다. |
||
참고문헌 |
내용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