결과보고 요약문

결과보고 요약문: 과제구분, 과제코드, 연구과제명, 연구책임자, 공동연구자, 연구기간, 연구형태, 연구목적 및 배경, 연구방법 및 내용, 연구결과물 세부 목차, 연구결과, 참고문헌, 로 구성
과제구분 한국학 기초연구/공동연구과제
과제코드 1995-역사-2
연구과제명
  • 국문 : 광복 50년의 한국사 연구성과 정리 ㅡ조선시대편ㅡ
  • 영문 : -
연구책임자 정구복
공동연구자
  • 이영훈 / 성균관대학교 / 교수
  • 박광용 / 가톨릭대학교 / 부교수
  • 최진옥 / 본원 / 조교수
  • 박연호 / 광주교육대학교 / 전임강사
연구기간 1995-01-01 ~ 1996-06-14 연구형태 공동
연구목적 및 배경

   광복 50년이 지난 현 시점에서 그간 한국 역사학계의 연구성과를 총정리해 봄으로써 아직 연구가 미진한 분야 또는 보완해야 할 점을 제시하여 앞으로의 연구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는 민족사관 정립을 위한 기초를 확립하기 위함이다.

연구방법 및 내용

연구방법

   1. 분야별 목차에 대해 연구사적인 방법으로 정리한다. 그러나 단순한 평이 아니라 연구상의 방법론, 문제의식, 자료의 해석 등에 대한 문제도 다루고 매 장의 끝 부분에는 앞으로 연구되어야 할 문제, 방법, 시각 등도 서술한다.
   2. 연구대상 시기는 조선 건국(1392)에서 개항(1876) 이전까지로 하되 연구결과 범위는 1945년에서 1994년까지로 한다.
   3. 연구대상은 단행본, 논문, 박사 · 석사학위 논문을 대상으로 하며, 연구에 중요한 결과를 가져온 자료에 대해서는 언급하기로 한다.
   4. 해당 분야와 관련된 논저목록을 작성 첨부한다.

 

연구내용

   1. 조선시대 정치 연구 성과 정리
   2. 조선시대 경제 연구 성과 정리
   3. 조선시대 사회 연구 성과 정리
   4. 조선시대 학술 · 사상 연구 성과 정리
   5. 조선시대 교육 · 과거 · 인쇄문화 연구 성과 정리

연구결과물 세부 목차

I. 총론          / 정구복
   1. 시기구분과 시대적 배경
   2. 연구자의 증가와 학회활동의 발전
   3. 새로운 방법론의 도입
   4. 자료의 발굴과 보급

 

II. 조선시대 학술 · 사상 연구성과 정리          / 정구복
   1. 머리말
   2. 예제와 신앙연구
   3. 철학연구
   4. 사상연구
   5. 국학발달사 연구
   6. 맺음말

 

III. 조선시대 정치 연구성과 정리          / 박광용
   1. 머리말
   2. 정치제도
   3. 정치세력과 정치운영방식
   4. 대외관계
   5. 맺음말

 

IV. 조선시대 경제 연구성과 정리          / 이영훈
   1. 토지제도 · 재정
   2. 농업
   3. 상업 · 무역
   4. 광공업

 

V. 조선시대 사회 연구성과 정리          / 최진옥
   1. 신분의 구조와 신분제의 변동
   2. 사회조직과 운영
   3. 사회운동
   4. 사회정책
   5. 가족제도

 

VI. 조선시대 교육 · 과거 · 인쇄문화 연구성과 정리          / 박연호
   1. 교육제도
   2. 과거제도
   3. 인쇄 및 출판

연구결과

   광복 50년의 한국사(조선시대) 연구 성과를 1) 총설 2) 학술과 사상 3) 정치 4) 경제 5) 사회 6) 교육 문화로 나누어 연구성과를 정리하고 주요 쟁점 사항을 소개하고 앞으로의 연구 전망을 다루었다.

참고문헌

기타

기타: 내용으로 구성
내용
TOP
전체메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