결과보고 요약문

결과보고 요약문: 과제구분, 과제코드, 연구과제명, 연구책임자, 공동연구자, 연구기간, 연구형태, 연구목적 및 배경, 연구방법 및 내용, 연구결과물 세부 목차, 연구결과, 참고문헌, 로 구성
과제구분 한국학 기초연구/공동연구과제
과제코드 1995-역사-1
연구과제명
  • 국문 : 삼국유사역주연구
  • 영문 : -
연구책임자 강인구
공동연구자
  • 황패강 / 단국대학교 / 명예교수
  • 김상현 / 한국교원대학교 / 교수
  • 장충식 / 동국대학교 / 교수
  • 김두진 / 국민대학교 / 교수
연구기간 1995-01-01 ~ 1995-12-15 연구형태 공동
연구목적 및 배경

연구 목적
   삼국유사는 우리민족의 대표적인 고전이며 삼국사기와 함께 최고의 사료의 하나임. 지금까지 삼국유사역주본은 여러 종류가 출간되었으나 사전적 문학적인 수준에 머물러 있는 실정임. 일본에서는 삼국유사고증3책 나오고 금년에 마지막이 나올 예정임. 기출간본보다 자세하나 한국학계의 연구성과를 수용하지 못하고 주로 일본학계의 성과만을 충실하게 반영하고 있음.
   따라서 광복이후의 모든 연구성과를 기반으로 한 새로운 번역과 주석이 필요하게 되었음.

 

연구 배경

   1. 우리나라에서 출간된 삼국유사 번역본들은 이미 상당한 시간이 흘렀고 외국에서 나온 것은 수용하기 어려운 부분이 있음.
   2. 우리 민족의 대표적 고전에 대한 바른 인식이 절대적으로 필요함.

연구방법 및 내용

연구방법

   1. 판본을 수집하여 원문을 교감함.
   2. 역주본을 수집하여 正誤를 가림.
   3. 삼국유사의 기사(*판독 미흡)를 토대로 하여 이루어진 연구성과를 수집 분석하여 주석에 반영함.
   4. 번역은 장차 영어로 번역할 수 있도록 단어 문장 등을 가려서 작성함.

 

연구내용

   1. 삼국유사 원문교감
   2. 삼국유사 번역
   3. 삼국유사 주석
   4. 삼국유사 해제(총설)

연구결과물 세부 목차
연구결과

   삼국유사 권 제1 기이(*판독 미흡) 2 고조선조부터 권 제2 景德王 忠談師 表訓大德까지 번역과 주석을 완료하여 전체의 30%에 해당하는 양을 진행 완료하였음. 부가하여 각 공동연구자들은 연구논문 1편씩을 작성하여 발표하였음.

참고문헌

[ 역주본 ]
1. 이병모 역주, 삼국유사 原文, 광조출판사, 1976
2. 林榮樹 역해, 三國遺事, 동경 三一書房, 1975
3. 三品彰英 역주, 三國遺事 考證 上下, 고서방, 1979
4. 김사엽 역, 완역 삼국유사 전, 대흥출판, 동경, 1980
5. 성은구 역해, 삼국유사, 전남대 출판부, 1981
6. 이재호 역해, 삼국유사, 광신출판사, 1989
7. 이가원 역해, 삼국유사 신역, 대학사, 1991
8. 최 호 역해, 신역 삼국유사, 홍신문화사, 1991

 

[ 영인본 ]
1. 晩松文庫本 三國遺事, 고려대 중앙동서관 도서영인, 1983
2. 原文 三國史記 · 三國遺事, 국어국문학총림 37, 1987

기타

기타: 내용으로 구성
내용
TOP
전체메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