결과보고 요약문

결과보고 요약문: 과제구분, 과제코드, 연구과제명, 연구책임자, 공동연구자, 연구기간, 연구형태, 연구목적 및 배경, 연구방법 및 내용, 연구결과물 세부 목차, 연구결과, 참고문헌, 로 구성
과제구분 한국학 기초연구/단독논문게재형과제
과제코드 1995-철학종교-4
연구과제명
  • 국문 : 多夕 柳永模의 宗敎思想
  • 영문 : -
연구책임자 강돈구
공동연구자
  • - / - / -
연구기간 1995-03-01 ~ 1995-12-15 연구형태 단독
연구목적 및 배경

연구 목적
   多夕 柳永模(1890-1981)는 한말의 격동기에서 최근까지 살면서 유교, 불교, 도교, 기독교를 종합하여 나름대로의 독특한 종교사상을 제시한 사람이다. 따라서 그는 현대 한국의 대표적 종교사상가로 지칭될 수 있을 것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는 현재 단지 咸錫憲의 스승 정도로 이해되고 있을 뿐이다. 본 연구는 柳永模의 종교사상의 내용과 독특성을 밝혀 그에 대한 학계의 관심을 진작시키는 데 목적이 있다.

 

연구 배경

   · 본인은 이미 한국의 무교회 운동을 金敎臣成錫憲을 중심으로 연구한 바가 있다. 따라서 成錫憲의 스승이면서 金敎臣과도 일정한 교분을 가졌던 柳永模에 대한 연구는 한국의 무교회 운동에 대한 연구의 후속작업이라고 할 수 있다.

   · 한편, 柳永模의 종교사상은 유교, 불교, 도교, 기독교계에서도 관심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유영모의 종교사상은 한국의 종교간 이해의 실마리를 풀어줄 수 있는 사상으로 학계는 물론이고 한국의 종교계에도 알릴 필요가 있다.

   · 그리고 그는 종교학이나 철학뿐만 아니라 국어학적이나 문학에서도 연구할 가치가 있는 인물이기 때문에 앞으로 공동연구의 필요성을 제기할 수 있다.

연구방법 및 내용

연구방법

   문헌연구 및 참여관찰

 

연구내용

   · 柳永模의 종교사상을 그의 저술집인 多夕日誌를 통해 살펴보고
   · 柳永模의 제자인 朴永浩金興浩 등의 저술을 통해 柳永模의 종교사상을 살핀다.
   · 그리고 朴永浩를 중심으로 하는 多夕硏究會 등에 참여하여 柳永模의 종교사상이 어떻게 변천하고 유지되며 어떤 영향력을 행사하고 있는지를 관찰한다.

 

   · 柳永模의 종교사상은 유교, 불교, 도교, 기독교는 물론이고 서양철학으로부터도 영향을 받았다. 그리고 그의 종교사상은 가까이는 톨스토이, 간디, 內村鑑三으로부터도 어느 정도 영향을 받았다. 그러나 유영모의 종교사상에는 이들과 달리 유교, 불교, 도교, 기독교적인 요소가 함께 들어 있어서 분명한 차이점을 지니고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본 연구는 특히 이 점에 초점을 맞추고자 한다.

연구결과물 세부 목차
연구결과

   유영모는 톨스토이, 간디, 內村鑑三으로부터 영향을 받았다는 인식 아래 먼저 3인의 종교사상을 살펴보았다. 그리고 유영모의 종교사상을 신관, 인간관, 구원관, 종교관, 종교 비판 등으로 나누어 살펴보고 이어서 유영모의 제자인 함석헌과 박영호의 종교사상을 살펴보았다. 마지막으로 유영모의 종교사상이 유교, 불교, 기독교의 四敎 會通思想이라는 지적과 함께 그의 종교사상을 종교간 대화와 종교다원주의의 측면에서 고찰하였다.

참고문헌

多夕日誌, 1-4
김홍호, 제소리, 풍만, 1983
多夕語錄, 홍익재, 1993
柳永模, 씨ᄋᆞᆯ의 말씀-多夕思想精解(卷一)(朴永浩 解說), 홍익재, 1989
박영호 엮음, 多夕 柳永模生涯思想, 弘益齋. 1985
박영호 엮음, 동방의 성인 다석 유영모, 무애, 1993
박영호, 다석 유영모 사상에서 본 주자의 中庸注釋, 다석탄신 104주년 기념 세미나 발표요지문, 1994. 3. 13
鄭良謨, 多夕 柳永模 先生信仰, 宗敎神學硏究, 6, 1993, 457-480
유영모 옮김, 박영호 풀이, 에세이 노자 빛으로 쓴 얼의 노래, 무애, 1992
류영모 옮김, 박영호 풀이, 中庸 에세이 마음 길 밝히는 지혜, 성천문화재단, 1994
박영호, 다석 유영모의 생각과 믿음, 문화일보, 1995
박영호, 다석 유영모의 기독교사상, 문화일보, 1995
톨스토이, 간디, 內村鑑三, 金敎臣, 成錫憲

기타

기타: 내용으로 구성
내용
TOP
전체메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