결과보고 요약문

결과보고 요약문: 과제구분, 과제코드, 연구과제명, 연구책임자, 공동연구자, 연구기간, 연구형태, 연구목적 및 배경, 연구방법 및 내용, 연구결과물 세부 목차, 연구결과, 참고문헌, 로 구성
과제구분 한국학 기초연구/공동연구과제
과제코드 1995-철학종교-2
연구과제명
  • 국문 : 한국사상사대계 III - 知訥사상과 그 현대적 의미
  • 영문 : -
연구책임자 김형효
공동연구자
  • 최병헌 / 서울대학교 / 교수
  • 길희성 / 서강대학교 / 교수
  • 허우성 / 경희대학교 / 교수
  • 김지견 / 본원 / 교수
  • 한형조 / 본원 / 조교수
연구기간 1995-01-01 ~ 1996-02-28 연구형태 공동
연구목적 및 배경

   지눌 연구는 그동안 다각도로 진행되어 왔으나 그에 관한 종합적 체계적 연구가 미약함. (단독 저술 1) 본 연구는 호교론이나 정통론에 휘말림이 없이 그를 한국 철학의 한 탁월한 사상가로 확인하는 작업임. 이를 위해 그의 사유를 역사적 철학적 윤리적 비교사상적 제 측면에서 살펴보려 했음. 관점과 내용의 깊이에서 기존 연구를 종합하고 한 단계 넘어서는 성과를 기약함.

연구방법 및 내용

연구방법

   문헌연구: 지눌의 수심결, 진심직설등의 선학적 저술과 화엄론절요등의 교학적 저술을 분석, 재해석함.
   1. 지눌의 저작과 관련문헌을 검토, 해석함
   2. 각 분야별로 관련된 사상적, 전통적, 사회적 맥락을 확인, 재구성함.
   3. 지눌의 사상을 현재적 관심하에 재조명하여 해석의 새로운 지평을 확보함.

 

연구내용
   고려 지눌의 사상을 철학적, 불교학적, 불교사적, 수행론적, 사회문화적 맥락에서 재해석하는 포괄적 작업
   지눌사상의 철학과 논리에 대한 연구     ·············· 김형효
   한국불교사에 있어서 지눌의 위상         ·············· 길희성
   지눌사상의 불교학적 접근                    ·············· 한형조
   지눌사상의 수행윤리 연구                    ·············· 허우성
   지눌사상과 고려사회                            ·············· 최병헌
   지눌과 선종의 관계                              ·············· 김지견

연구결과물 세부 목차
연구결과

   최병헌 교수는 지눌사상의 배경과 맥락을 당대 교학과의 연관을 축으로, 길희성 교수는 지눌 선의 프레임워크를, 허우성 교수는 지눌의 정신적 자양인 대혜선과의 비교를, 김형효 교수는 지눌 돈교의 중심원리인 自性自心一致를 현상학적으로 해명하는 작업을, 한형조 교수는 지눌의 구원론적 구조와 신유학적 사유구조와의 대비를 중심으로 다루었다.

참고문헌

기타

기타: 내용으로 구성
내용
TOP
전체메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