결과보고 요약문

결과보고 요약문: 과제구분, 과제코드, 연구과제명, 연구책임자, 공동연구자, 연구기간, 연구형태, 연구목적 및 배경, 연구방법 및 내용, 연구결과물 세부 목차, 연구결과, 참고문헌, 로 구성
과제구분 한국학 기초연구/공동연구과제
과제코드 1995-철학종교-1
연구과제명
  • 국문 : 한국사상가의 새로운 발견( V ) ㅡ간재 전우 연구ㅡ
  • 영문 : -
연구책임자 김경일
공동연구자
  • 금장태 / 서울대학교 / 교수
  • 양재열 / 안동대학교 / 부교수
  • 이상호 / 성균관 / 총무처부처장
  • 지교헌 / 본원 / 교수
  • 한형조 / 본원 / 객원연구원
연구기간 1995-01-01 ~ 1995-12-15 연구형태 공동
연구목적 및 배경

   艮齋 田愚(1841-1922)는 한국근대 성리학에 있어서 독특한 心平性, 心師心弟說을 제시한 대학자임. 그러나 간재는 아직까지 학계에서 널리 연구되지 못한 사상가이므로 그의 사상을 고찰하여 학계에 공헌하고자 함. 그의 사상을 이기론, 인물성론과 심성론을 중심으로 하여 사상적 특징을 고찰하고 그 현대적 의미를 조명함.

연구방법 및 내용

연구방법
   문헌연구
   간재집을 비롯하여 화서문집, 노사의 이통설, 한주의 이학종요등의 자료를 수집하여 그 자료적 성격을 검토하고 분석과 비판적 재해석을 통하여 그 사상사적 특성과 의미를 탐구하여 규명하는 문헌적 연구방법을 근거로 함.

 

연구내용
   간재 전우의 경학사상, 철학사상, 역학사상, 이기설의 특질, 그리고 경세사상을 연구함으로써 그의 사상적 특징을 고찰하고 그 현대적 의미를 조명함.

   간재의 인물성론                                        ·············· 양재열
   간재의 철학사상                                        ·············· 금장태
   간재의 이기론의 특성                                ·············· 이상호
   간재의 심설고찰                                        ·············· 김경일(의무)
   한말의 주리와 주기 그 철학과 행동사이    ·············· 한형조(의무)
   간재의 예설                                               ·············· 지교헌(의무)

연구결과물 세부 목차
연구결과

   가호학파의 화서 이항노는 本心卽理說을 제기하고 노사 기정진은 理尊無對說로 율곡의 성리설을 극복하였고, 영남학파의 한주 이진상은 심즉리설로 퇴계의 성리설을 재해석했다. 이같은 한말 성리학사에서 간재 전우의 사상의 특징을 도출하고자 함.

참고문헌

기타

기타: 내용으로 구성
내용
TOP
전체메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