결과보고 요약문

결과보고 요약문: 과제구분, 과제코드, 연구과제명, 연구책임자, 공동연구자, 연구기간, 연구형태, 연구목적 및 배경, 연구방법 및 내용, 연구결과물 세부 목차, 연구결과, 참고문헌, 로 구성
과제구분 한국학 기초연구/공동연구과제
과제코드 1997-세미나과제-1
연구과제명
  • 국문 : 두시와 두시언해(인문연구실 어문 분야 실별 세미나)
  • 영문 : -
연구책임자 이종묵
공동연구자
  • 심경호 / 고려대학교 / 부교수
  • 안병희 / 서울대학교 / 교수
  • 안대희 / 연세대학교 / 강사
  • 정재영 / 서울대학교 규장각 / 특별연구원
  • 김성규 / 경기대학교 / 조교수
  • 조남호 / 국립국어연구원 / 연구원
연구기간 1997-01-01 ~ 1997-05-23 연구형태 공동
연구목적 및 배경

연구목적

   두시는 우리나라 시인에게 가장 많이 읽혔으므로 그 시집이 조선시대 여러 차례 간행되어 서지적 고찰의 대상이 되고 있으며, 두시 자체도 한국 한문학에서 비교문학적으로 고찰되고 있다. 또 이를 언해한 두시언해는 중세 국어 연구의 주텍스트의 하나로 연구되고 있다. 워낙 방대한 자료인데다, 다양한 분야의 전공자들이 공동으로 접근하여야 올바른 연구 성과가 기대될 수 있다는 점에서, 서지학 전공자, 한국한시전공자, 중세국어 전공자 등이 분야별로 나누어 두시와 두시언해를 고찰하고, 전문가들을 초빙하여 종합적인 토론을 벌여 일차적인 연구 결과물의 성과를 점검하고자 하였다.

 

   1. 杜甫의 한시가 우리 한시에 끼친 영향을 비교 문학적으로 고찰.
   2. 두시언해를 중심으로 한 중세국어의 언어학적 고찰.
   3. 국어학과 국문학, 중문학, 서지학의 학제간 연구
   4. 실 세미나에 반영

 

연구배경
   (1) 두시언해는 조선 초기 우리 문화의 수준을 알게 해 주는 방대한 서적이지만, 한시 자체에 대한 연구와 언해문에 대한 연구가 종합적으로 이루어지지 못하여, 이 방면의 공통 연구가 시급하다.
   (2) 한문학 전공자들과 국어학 전공자들의 공동 연구를 통하여, 두시에 대한 종합적인 검토를 수행할 필요가 있다.

 

자료
   두율우주
   찬주분류두시
   두시상주
   택풍당비해
   천가두주
   초간본 두시언해
   중간본 두시언해

연구방법 및 내용

연구방법
   1. 국어학적 고찰 : 두시언해를 중심으로 한 중세 국어의 통사론적, 음운론적 고찰.
   2. 비교문학적 고찰 : 두시와 한국 한시의 비교문학적 고찰.
   3. 서지학적 고찰 : 두시 및 두시언해의 서지학적 고찰
   4. 서지학, 언어학, 문학의 학제간 연구를 위하여 실별 세미나를 개최하여 발표하고 해당 분야 전문가들을 초빙하여 토론한다.
   5. 그 결과를 정리한다.

 

연구내용
   1. 연구내용
      (1) 두시언해에 대한 언어학적 고찰
      (2) 두시의 비교문학적 고찰
      (3) 두시 및 두시언해의 서지적 고찰
      (4) 언어학, 문학, 서지학의 학제간 연구
   2. 가설
      (1) 두시언해의 언어학적 특질을 한문학 연구자들과 공동 주제로 설정하여 그 의의를 밝힌다.
      (2) 두시의 비교문학적 고찰을 통하여 우리 한시의 수준과 미학을 검토한다.
      (3) 두시 및 두시언해의 서지학적 의의를 검토한다.
      (4) 언어학, 문학, 서지학의 학제간 토론

연구결과물 세부 목차

1부 서지학적 고찰
   조선조의 두시집 간행에 관한 補論 ··· 沈慶昊(고려대 한문학과)
   杜詩諺解書誌的 考察              ··· 安秉禧(서울대 국문과)

2부 한문학적 고찰
   杜詩의 언해 양상               ··· 李鍾黙(본원 인문연구실)
   朝鮮時代杜詩注釋의 양상 ··· 安大會(연세대 국문과)

3부 국어학적 고찰
   『杜詩諺解文法的 特徵    ··· 鄭在永(서울대 규장각)
   『杜詩諺解의 음운론적 특징 ··· 金星奎(경기대 국문과)
   『杜詩諺解의 어휘론적 검토 ··· 조남호(국립국어연구원)


지정토론남권희 김영배 정민 김건곤 이현희 백두현 연규동

연구결과

   1. 서지학적 고찰 : 안병희와 심경호에 의하여 조선 간본 두시집과 두시언해의 인간 경위와 실상에 대하여 그간 학계에 잘못 이해된 점이 수정되고 새로운 자료가 소개 고찰되었다.
   2. 한문학적 고찰 : 이종묵과 안대회에 의하여 두시의 언해 양상과, 조선시대 두시에 대한 주석의 실상이 구체적으로 검토되었다.
   3. 국어학적 고찰 : 김성규, 정재영, 조남호에 의하여 두시언해의 음운론적, 문법론적, 어휘론적 고찰이 이루어졌다.
   4. 홍윤표, 정양완, 채완의 사회와 남권희, 김영배, 정민, 김건곤, 백두현, 연규동, 이현희의 지정 토론, 일반 참가자의 토론이 활발하게 이루어졌다.

 

   조선시대에 간행된 두시집 중에서 分類式 編次本世宗 13年刊 草堂詩箋, 編年體編次本明宗 4年 內賜本 讀杜詩愚得이 가장 이른 시기의 것인데, 전자가 麻沙本을 저본으로 한 것이고 후자가 作詩의 시대 배경을 중시하면서 朱子詩論에 따라 註解되었다는 점을 규명하였다. 두시언해는 유윤겸을 중심한 弘文館의 문신들에 의하여 언해가 이루어진 것이며, 언해에 착수한 1481(성종12) 연말에 전질 25권이 을해자로 간행되었고 한글과 방점은 별도의 활자로 만들어져 조판되었음을 밝혔다. 한문학적 접근에서는 두시언해가 기본적으로 찬주분류두시를 바탕으로 하면서도 독창적으로 해석을 가하기도 하였으며, 두시의 구법을 이해할 수 있도록 언해하였음을 밝혔다. 또 조선시대 대표적인 두시 주석가인 李埴의 두시 주석을 통하여 考據에 치중하는 전인의 주석 태도를 지양하고 작품 자체를 숙독하여 그 의미를 분석해내고, 중국쪽의 주석서와는 달리 詩法의 차원에서 주석을 행하며, 시학의 연원을 살필 수 있도록 배려하고 있음을 살폈다. 또 이식의 구결토가 두시의 언해와 관련하여 매우 중요한 것임을 밝혔다. 국어학적 접근에서는 杜詩 諺解書의 체재와 이들의 번역 양상, 杜詩諺解 註釋文의 체재와 형식, 杜詩諺解 언해문의 성격 등을 검토하고 그 문법적인 특징을 공시와 통시적으로 고찰하였으며 두시분류라는 새로운 언해 자료를 발굴 소개하였다. 두시언해를 음운론적으로 고찰하여 중간본 표기자의 의도와 관련하여 일어난 중간본 표기법과 언어 현상의 변화 양상을 구체적으로 규명하였다. 또 두시언해의 어휘 분포, 쌍형으로 나타나는 단어, 한자어를 비롯한 차용어, 두시언해에서만 볼 수 있는 단어, 중간본에서의 변화 양상 등의 측면에서 두시언해의 어휘를 고찰하였다.

참고문헌

이병주, 두시언해 비주
지준모, 두시언해의 주석과 번역에 관한 고찰
서재극, 두시언해의 문법
안병희, 언해의 사적 고찰
심경호, 찬주분류두시 해제
이현희, 중세국어구문연구
이종묵, 해동강서시파연구
정민, 석주 시의 두 모습
윤재민, 조선 후기 중인 문학 연구
김성규, 중세 국어 성조에 대한 연구

기타

기타: 내용으로 구성
내용
TOP
전체메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