결과보고 요약문

결과보고 요약문: 과제구분, 과제코드, 연구과제명, 연구책임자, 공동연구자, 연구기간, 연구형태, 연구목적 및 배경, 연구방법 및 내용, 연구결과물 세부 목차, 연구결과, 참고문헌, 로 구성
과제구분 한국학 기초연구/공동연구과제
과제코드 1997-학술대회-4
연구과제명
  • 국문 : '97 인문연구실(예술)세미나 韓國傳統音樂의 搖聲
  • 영문 : -
연구책임자 김영운
공동연구자
  • 김해숙 / 중앙대학교 / 강사
  • 이동복 / 경북대학교 / 교수
  • 문현 / 국립국악원 / 학예연구관
연구기간 1997-09-01 ~ 1997-11-27 연구형태 공동
연구목적 및 배경

연구목적
   한국전통음악에 있어 중요한 특징의 하나인 요성을 주제로 하여, 전통음악의 각 장르마다 독특하게 표현되는 요성의 유형과 특징을 밝혀 보고자 함.
   한국전통음악에서 요성은 단순한 표현 기교가 아니라, 악조의 성격을 드러내는 요소이며, 각 장르의 특징을 나타내는 요소이기도 하다. 따라서 요성(농현)에 대한 연구는 결국 한국음악장르론이나 음조직론과도 밀접한 관련을 맺는 중요한 연구이다.
   본원 인문연구실에서는 종래에 예술연구실에서 격년으로 개최하였던 한국 전통음악분야의 세미나 대주제로 한국 전통음악의 요성을 삼았다.

 

연구배경
   음악에서 소리를 떨어 표현하는 요성(Vibrato)은 악곡표현 기법의 하나로, 서구음악에서는 연주에 따른 악곡 해석의 표현으로 인식되고 있다. 그러나 한국 전통음악의 요성은 음악을 구성하는 데 필수적인 요소이며, 특히 음조직(음계 · 선법) 및 음악 장르와 밀접한 관련을 맺고 있다.
   즉, 한국 전통음악에서는 악곡의 장르에 따라, 또는 악조에 따라 요성의 유형과 기법 및 요성음이 달라지기도 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지금까지 국악학계에서는 이 분야에 대한 연구가 활발하지 못했다. 특히 요성이 매우 섬세한 음향 현상이기 때문에 발달된 전자기기에 의한 자연과학적인 관찰도 필요하나, 현재까지는 전통음악의 요성에 관한 과학적 분석은 없었다.
   또한 최근에 발달되어 보급되기 시작한 PC에 의하여 음향학적 분석이 가능하므로, 이를 활용한 자연과학적 접근을 시도해 보고자 한다.

연구방법 및 내용

연구방법
   한국 전통음악의 요성에 관한 문제를 아래와 같이 나누어 접근하고자 함.
   1. 管樂搖聲(대금을 중심으로) / 이동복
      피리, 대금, 단소 등으로 대표되는 한국 관악기 음악에서 大笒 음악에 나타나는 요성을 정악과 민속악으로 나누어 각각의 음악쟝르에서 드러나는 특징을 분석 · 연구한다.
   2. 絃樂弄絃(가야금을 중심으로) / 김해숙
      거문고, 가야금, 아쟁으로 대표되는 한국 현악기 음악에서 가야금 음악에 나타나는 농현을 정악과 민속학으로 나누어 각각의 음악쟝르에서 드러나는 특징을 분석 · 연구한다.
   3. 正歌搖聲(歌曲 · 歌詞 · 時調를 중심으로) / 문 현
      전통음악의 성악분야 중 정가에 속하는 歌曲, 歌詞, 時調에 한하여 각 장르 음악에 드러나는 요성의 특징을 분석 · 연구한다.
   4. 地域別 民謠搖聲 分析 김영운
      한국의 민요를 대상으로 민요권에 따른 요성을 분석한다. 지역별로 향토민요와 전문가에 의한 잡가도 다루며, 특히 음향학적인 접근을 시도한다.

 

연구내용
   한국 전통음악의 요성은 지역적으로 서로 다르다는 가설이 이미 학계에 발표된 바 있으며, 악곡의 장르에 따라서도 크게 다른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전통음악의 요성이 장르나 지역에 따라 다르다면 어떻게 같고 다른지에 대한 학술적인 검토가 필요할 것이다.

 

   한국 전통음악의 搖聲(弄絃)에 관한 문제를 아래와 같이 나누어 접근하고자 함.
   1. 管樂搖聲(大笒을 중심으로)                                --- 이동복
   2. 絃樂弄絃(伽倻琴을 중심으로)                           --- 김해숙
   3. 正歌搖聲(歌曲 · 歌詞 · 時調를 중심으로)     --- 문   현
   4. 地域別 民謠搖聲 分析                                         --- 김영운

연구결과물 세부 목차
연구결과

   한국전통음악의 분야별 특징과 차후 이 분야 연구의 문제점이 도출됨.
   특히 음향기기를 활용한 음향물리학적 연구의 결과로, 한국 전통음악의 요성은 서구음악과 달리 음고 비브라토뿐만 아니라, 음량(강세) 비브라토를 포함하고 있음이 처음으로 밝혀짐.

참고문헌

신미영, "방산한씨금보 가야금 농현법에 관한 고찰," 석사논문, 서울대 대학원, 1984.
안승훈, "현행 정악 가야금 농현법에 관한 연구 ㅡ현악 영산회상중 산령산에 기하여ㅡ," 한양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85.
장사훈, "농현법의 연구," 국악논고(서울대출판부,1966) pp.453-518
장사훈, "한국음악의 선율적 연구(농현법의 연구) ㅡ특히 유예지 이전의 농현법을 중심으로ㅡ," 숙대논문집』 
4, 1964.7.25.
한명희, "함께 생각하는 국악 ㅡ농현의 여운속에 배인 우리의 심성ㅡ," 객석(주식회사 예음, 1988), 5월호. 54-5.
金景培, "現行 羽調歌曲 唱法硏究 搖聲法轉聲法中心으로ㅡ," 張師勛博士回甲記念東洋音樂 論叢(서울:韓國國樂學會, 1977), 1-19.
최은규, "바이올린 비브라토의 음향학적 분석," 석사논문, 서울대학교 대학원, 1995.

기타

기타: 내용으로 구성
내용
TOP
전체메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