결과보고 요약문

결과보고 요약문: 과제구분, 과제코드, 연구과제명, 연구책임자, 공동연구자, 연구기간, 연구형태, 연구목적 및 배경, 연구방법 및 내용, 연구결과물 세부 목차, 연구결과, 참고문헌, 로 구성
과제구분 한국학 기초연구/단독논문게재형과제
과제코드 1997-예술-2
연구과제명
  • 국문 : 朝鮮時代 後期 繪畵에 나타난 外來文化의 影響
  • 영문 : -
연구책임자 이성미
공동연구자
  • - / - / -
연구기간 1997-01-01 ~ 1997-12-15 연구형태 단독
연구목적 및 배경

연구목적
   조선시대 회화의 연구는 과거 25년여 간 상당한 진척을 보였다. 특히 화가 개개인에 대한 연구와 그에 따르는 새로운 작품의 발굴, 공개, 전시 등 활발히 진행되었고 많은 논문도 배출되었다. 眞景山水, 風俗畵, 花鳥畵, 四君子, 道釋人物畵 등의 書目別 연구도 많은 진척을 보았다. 그러나 조선시대 후기 회화의 양식 변화, 주제 변화, 기법, 그리고 顔料의 변화에 관한 연구는 비교적 소홀한 편이었으며 특히 서양의 영향에 관한 연구는 극히 한정된 정도에 불과한 실정이다.
   반면에 中國繪畵 연구에서는 16세기 말기 이후 Jesuit 선교사들이 중국에 오면서 중국 회화에 나타난 변화에 대한 연구가 구체적으로 다각도에서 시도되어 좋은 결과를 낳았다. 따라서 이러한 외국의 비슷한 연구 先例를 참작하여 우리나라 18세기 이후 회화에 나타나는 새로운 양식적 요소와 外來문화의 導入 관계를 구체적으로 살펴 볼 필요가 있다고 생각한다.

 

연구배경
   현재까지 조선시대 후기의 초상화, 동물화, 일부 산수화, 화조화 등에서 서양화의 기법이 感知된다는 의견은 여러 미술사가들의 글에 단편적으로 언급되어왔다. 그러나 어느 화가가 왜 그 시점에서 서양화 기법의 영향이 반영된 그림을 그리게 되었나 하는 구체적인 探究는 이루어지지 않았다. 그러므로 이와 같이 중요한 변화의 요인을 추적하는 작업을 여러 각도에서 시도해야 한다고 생각한다. 또한 조선시대 말기 채색화에 나타나는 새로운 색상, 농도 등의 변화도 같은 맥락에서 정밀 추적을 통해 가려낼 수 있을 것이며 이와 같은 연구의 결과는 으로 지금까지 막연하게 18, 19세기 작품으로 편년되어 오던 작품들을 좀 더 정확하게 편년하고 그에 따른 양식의 변천도 추적할 수 있게 할 것이라고 기대해 본다.
   文獻記錄을 통한 조선시대 후기 서양 문물과의 접촉에 관한 증거는 현재까지 주로 北學派赴燕使들의 燕行錄을 통한 연구에 국한되어 있었다. 좀 더 범위를 넓혀 기독교 유입 이후의 기독교와 직접, 간접으로 접촉을 가졌던 인사들의 文集이나 다른 기록들을 통한 고찰도 새로운 과제로 부각된다.

연구방법 및 내용

연구방법
   1) 각종 문헌 검토
   2) 서양 유물 중 繪畵에 영향을 주었을 가능성이 있는 것들을 추적, 검토.
   3) 서양 안료의 유입시기, 구체적 영향 검토.
   4) 선교사들의 활동 사향을 추적, 이들의 교회 건축 및 장식에 참여한 역할 검토.
   5) 조선시대 후기 회화 중 이전과 현저하게 다른 양식을 보이는 회화 작품들을 분리, 검토.
   6) 문헌과 유물과의 상호 연관 관계를 살펴 결론을 도출.

 

연구내용
   문헌기록 검토를 통하여 우리나라에 서양 문물이 들어온 예를 추적.
   특히 기독교 서적, 그림 등의 유입으로 서양의 영향이 구체적으로 나타났을 것으로 보고 이들을 구체적으로 밝힘.

연구결과물 세부 목차

I. 序言
II. 中國 明 · 淸 時代의 서양화법 수용 槪觀
III. 朝鮮時代 後期 지식인들의 西洋畵法에 대한 認識
IV. 朝鮮時代 後期 繪畵에 반영된 西洋畵法
V. 結語
   參考文獻 目錄
   圖版 目錄
   圖版

연구결과

   조선후기 회화에 나타난 서양화법의 영향을 문헌기록과 현존 유물을 검토하여 유기적으로 논하였음. 18 · 19세기 초상화, 진경산수, 동물화, 기록화 등에 보이는 사실적 묘사, 원근감, 공간감의 표현은 당시 연경에 다녀온 사람들이 서양화를 접하고 받는 충격이나 이들이 반입해 온 서양화, 또는 漢譯 서양서를 보고 서양문물에 관한 느낌을 기록한 지식인들의 영향하에 새롭게 대두된 양식적 변화임. 그러나 20세기 이전에는 그 수용정도가 철저하지 못하였음.

참고문헌

朝鮮王朝實錄
국역연행록선집, 민족문화추진위원회, 1976.
기타 燕行 인사들의 文集 多數
조선시대 각종 都監儀軌
徐有榘, 林園經濟誌

許筠, 西洋書法東傳受容 - 朝鮮 後期 繪畵史一斷面弘益대학교 대학원 석사논문, 1981
李成美, 「『林園經濟誌에 나타난 徐有榘中國繪畵 畵論에 대한 關心」 『美術史學硏究193 (1992. 3)

 

Cahill, James F. THE COMPELLING IMAGE: NATURE AND STYLE IN SEVENTEENTH-CENTURY CHINESE PAINTING, Harvard University Press, 1979 중 다음의 논문들.
    1) Chang Hung and the Limits of Representation
    2) Wu Pin, Influences from Europe, and the Northern Sung Revival
    3) Hung-jen and Kung Hsien: Nature Transfigured

 

Sullivan, Michael. THE MEETING OF EASTERN AND WESTERN ART,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Berkeley and Los Angeles, 1989.

기타

기타: 내용으로 구성
내용
TOP
전체메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