결과보고 요약문

결과보고 요약문: 과제구분, 과제코드, 연구과제명, 연구책임자, 공동연구자, 연구기간, 연구형태, 연구목적 및 배경, 연구방법 및 내용, 연구결과물 세부 목차, 연구결과, 참고문헌, 로 구성
과제구분 한국학 기초연구/공동연구과제
과제코드 1997-어문-4
연구과제명
  • 국문 : 서거정 문학의 종합적 검토
  • 영문 : -
연구책임자 이종묵
공동연구자
  • 민병수 / 서울대학교 / 교수
  • 박경신 / 울산대학교 / 교수
  • 박수천 / 동아대학교 / 부교수
연구기간 1997-01-01 ~ 1997-12-31 연구형태 공동
연구목적 및 배경

연구목적
   조선 초기 대제학의 23년간 역임한 최고의 문인 서거정의 한시와 비평, 설화 문학 등 그의 문학 전반에 대한 종합적인 고찰을 목적으로 한다. 생애와 사상, 한시, 비평, 설화 문학 등의 영역으로 나누어 개별적인 고찰을 할 것이며, 이를 통해 서거정에 대한 종합적 이해가 이루어질 것이다.

 

연구배경
   (1) 조선 초기 최고의 문인인 서거정에 대한 종합적인 검토가 이루어지지 못하여, 조선 초기 문학의 전모를 파악하는 데 장애가 되고 있다.
   (2) 서거정 문학에 대한 종합적 검토는 조선 초기 관각 문인의 전형을 보게 할 것이다.

 

자료
   (1) 기본자료
      四佳集(민족문화추진회편, 한국문집총간)
   (2) 보조자료
      문집류 : 佔畢齋集
                     : 梅月堂集
                     : 虛白堂集
       시선집류 : 東文
                         : 
靑丘風雅
                         :
 國朝詩刪

연구방법 및 내용

연구방법
   1. 개별 연구
      (1) 민병수 : 서거정 문학 연구 서설
      (2) 이종묵 : 서거정의 한시 연구
      (3) 박경신 : 서거정의 설화 문학 연구
      (4) 박수천 : 서거정의 문학 비평 연구
   2. 개별 연구의 토론과 수정
      발표회를 열고 종합적인 연구 성과를 점검한다.
   3. 연구 결과의 종합

 

연구내용
   1. 연구내용
      (1) 민병수 : 서거정 문학 연구 서설
      (2) 이종묵 : 서거정의 한시 연구
      (3) 박경신 : 서거정의 설화 문학 연구
      (4) 박수천 : 서거정의 문학 비평 연구
   2. 가설
      조선 초기 최고의 문인이자 관각 문인의 전형인 서거정의 문학 세계를 종합적으로 조망할 수 있을 것이다.

연구결과물 세부 목차

1부 서거정의 삶과 문학 활동(이종묵)
1. 가계와 생장
   1) 가계
   2) 생장과 수학
2. 출사와 관료생활
   1) 환력과 그 애환
   2) 사대와 관각의 문자
3. 일상과 가정생활
   1) 일상으로서의 시작과 수창
   2) 삶의 공간과 편찬활동
4. 저술과 편찬활동
5. 죽음과 사후의 평가


2부 서거정의 시세계(민병수)
1. 서언
2. 萬首시의 작가
3. 형상화 방식
   1) 의상
   2) 수사
4. 결언


3부 서거정의 문학비평(박수천)
1. 서론
2. 含蓄不露의 의경
3. 豪邁廣達의 기상
4. 關於世敎의 효용
5. 無斧鑿之痕의 용사
6. 意新語奇의 품평
7. 결론

 

4부 서거정의 설화문학(박경신)
1. 서거정의 설화문학에 대한 인식
2. 서거정의 설화관계 저술자료 및 그들의 상호 관계
   1) 서거정의 설화관계 저술자료
   2) 서거정의 설화관계 저술 자료의 상호 관계
3. 식자 소화와 태평한화골계전
   1) 태평한화골계전의 이본들
   2) 식자 소화로서의 태평한화골계전
4. 결론

연구결과

   1. 생애와 문학활동 : 실록과 서거정의 문집 및 주변 인물의 문집 등을 바탕으로 하여 그 생애를 재구하고 정치 활동, 가정 및 일상 생활, 저술 활동 등을 살폈다.
   2. 시세계 : 만여수의 시를 남긴 이유를 먼저 살피고, 이 때문에 오히려 시작에 공을 들이지 못하였으며 이에 따라 조선과 중국 전대 시의 특정 구절을 그대로 따 쓴 것이 많다는 점 등을 규명하였다.
   3. 문학비평 : 서거정이 문학 비평이 用事를 위주로 한다는 기존의 설을 부정하고 서거정이 천부적이 기상을 존중하였으며 당시풍의 시를 높게 평가하였음을 밝혔다.
   4. 설화문학 : 서거정이 설화문학의 가치를 인식하고 저술한 태평한화골계전을 중심으로 하여 식자 소화의 전형을 마련하였음을 밝혔다.

참고문헌

조종업, 동인시화연구
전형대, 동인시화연구
조동일, 한국문학사상사시론

초록 요약

초록 요약: 세부과제별 요약( 세부과제1, 세부과제2, 세부과제3, 세부과제4, )으로 구성
세부과제별 요약
세부과제1

서거정의 삶과 문학 활동          / 이종묵

 

   서거정은 1420년 서미성의 아들로 태어났고 외조부 양촌 권근의 후광과 자형 최항의 후광을 입었다. 집현전에서 벼슬을 시작하여 대사헌, 대제학 등의 청직을 역임하고 육조의 판서를 두루 거치는 등 행정 실무에도 밝았다. 중국 사신을 접대하면서 나라의 문운을 빛내었으며 문형으로서의 화려한 작품 활동을 하였다. 그는 시를 짓는 것이 일상이었기 때문에 벗과 수없이 수창하고 자신의 가족과 일상에 대해서도 자세히 시로 적어내었다. 그가 편찬한 일련의 저술도 그 성과가 뛰어나 후대 관각 문인의 전형이 되었다.

세부과제2

서거정의 시세계          / 민병수

 

   서거정은 말로써 시를 쓰는 문자 행진을 거듭하여 그 작품 대부분이 남에게 주는 것이 주종을 이루었다. 차운시, 송별시, 증답시 등이 그러한 것이다. 관변에서 일어나는 사건에 대하여도 계기가 주어질 때마다 시로써 참여하였다. 자신의 호시벽과 해박을 과시하려는 과욕이 어울어진 것이다. 그러나 그의 이러한 다작은 작시의 불성실을 초래하였으며 결과적으로 그의 시는 즉흥시를 양산하게 되었다. 다만 만년에 접어들면서 욕심이 감쇄되고 자신을 뒤돌아보는 술회시가 주종을 이루며, 이러한 것이 수작으로 후대에 평가되었다.

세부과제3

서거정의 문학비평          / 박수천

 

   서거정은 시가 깊은 함축을 지녀 언외에 다하지 않는 뜻을 담아야 한다고 평가하고, 대각의 시가 같은 호매광달함을 높게 평가하였다. 시의 효용과 관련하여서는 성현의 도의 구체적 현상인 충군, 풍간, 우국, 애민, 교화 등이 실제의 시로 발현되어야 한다고 여겨 문학이 소기에 그치지 않아야 한다고 하였다. 용사는 흔적이 없어야 하며, 말과 뜻이 새롭고 기특하여야 우수한 시가 된다고 하였다.

세부과제4

서거정의 설화문학 식자 소화로서의 태평한화골계전을 중심으로          / 박경신

 

   서거정은 개인의 즐거움을 추구하는 우스운 이야기도 훌륭한 문학일 수 있다고 인식하여 동인시화, 태평한화골계전, 필원잡기 등의 저술을 남겼는데, 이들은 각기 시에 대한 이야기, 오직 즐거움만을 위한 이야기, 국사에 실리지 않은 이야기 등으로 구분된다. 그중 태평한화골계전은 식자 소화로 일정한 품위를 유지하려는 자세를 견지하고 있다.

기타

기타: 내용으로 구성
내용
TOP
전체메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