결과보고 요약문

결과보고 요약문: 과제구분, 과제코드, 연구과제명, 연구책임자, 공동연구자, 연구기간, 연구형태, 연구목적 및 배경, 연구방법 및 내용, 연구결과물 세부 목차, 연구결과, 참고문헌, 로 구성
과제구분 한국학 기초연구/공동연구과제
과제코드 1997-어문-3
연구과제명
  • 국문 : 고려시대 역사시 연구
  • 영문 : -
연구책임자 김건곤
공동연구자
  • 이종문 / 계명대학교 / 교수
  • 김종진 / 동국대학교 / 교수
  • 여운필 / 부산여자대학교 / 교수
연구기간 1997-01-01 ~ 1998-06-15 연구형태 공동
연구목적 및 배경

연구목적
   고려시대 역사를 소재로 한 한시를 연구하여, 이를 통해 한국 역사 한시의 전형과 미학을 규명하고, 시대사적 의미를 탐색한다.

 

연구배경
   고려시대에는 특히 역사를 소재로 한 한시가 많다. 그러나 이에 대한 종합적 검토가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자료
   (1) 문집류
      계원필경
      서하문집
      동국이상국집
      가정집
      목은집
      도은집
      삼봉집
      포은집
   (2) 선집류
      東文選
       靑丘風雅
       三韓詩龜鑑
       十抄詩.

연구방법 및 내용

연구방법
   1. 개별 연구
   2. 개별 연구의 토론
   3. 연구 결과의 정리

 

연구내용
   1. 연구내용
      (1) 이종문 : 고려 전기 역사 한시 연구(김부식을 중심으로)
      (2) 김종진 : 고려 중기 역사 한시 연구(이승휴를 중심으로)
      (3) 김건곤 : 고려 후기 역사 한시 연구(이제현을 중심으로)
      (4) 여운필 : 고려 후기 역사 한시 연구(이색을 중심으로)
   2. 가설
      (1) 고려시대 역사를 소재로 한 한시에 대한 종합적 조망을 할 수 있다.
      (2) 역사 소재 한시의 유형과 특징을 이해할 수 있다.

연구결과물 세부 목차
연구결과

   1. 고려시대 시인 중 역사소재 한시를 다수 남긴 대표적 작가인 이규보, 이승휴, 이제현, 이곡, 이색의 영사시, 회고시, 서사시, 시사를 분석 · 검토하여 그 전형과 특징을 고구함.
   2. 특히, 이규보의 동명왕편과 이승휴의 제왕운기이제현과 이곡의 영사시, 이색의 영사시와 시사에 주목하고, 지금까지 학계에서 전혀 논의되지 않았던 제왕운기원전의 첨삭 및 변개 가능성을 제기함.

 

   李鍾文 敎授李奎報東明王篇에 대하여 기존의 학설을 재검토하고, 시각을 달리하여 11~12세기의 고려 국내외적 상황과 고려인의 문화의식, 영토의식, 고구려 전통의 지속 등과 관련하여 작품창작의 배경을 살피는 한편, 序文의 몇 가지 의문점을 제기하고, 동명왕편을 이규보의 행동양식과 관련하여 창작의 개인적 동인을 검토함. 이를 바탕으로 동명왕편서술의 기본방법과 작품의 문학성을 따짐. 한편 李承休帝王韻紀에 대하여는 시구의 분량과 주석의 내용을 분석하여 그동안 누구도 의심하지 않았던 원전의 첨삭과 변개 가능성을 제기함.
   金乾坤 敎授李齊賢의 역사의식이 春秋에 바탕한 정통론과 명분론이 중심이 되고 있음을 밝히고, 5458수의 역사 관련 시를 국가의 흥망, 군주의 도, 인신의 도, 회고의 정, 동국사영 등 주제별로 나누어 작품을 분석함.
   金宗鎭 敎授李穀의 영사시 27수를 후한 말의 외척 및 환관의 전횡과 실정, 강직한 사풍과 당고의 화, 군웅할거 시대의 각양한 인간 등으로 분류하여 분석하는 한편, 중국 역사에서 소재를 취한 시와 우리나라 역사에서 소재를 취한 시로 나누어 개관하고, 이를 이곡의 현실인식 및 처세관과 관련하여 해석함.
   呂運弼 敎授李穡의 역사 소재 시를 형상화 양상별로 3분하고 주제별로 검토하여 성현의 교화, 군자의 절의와 충직, 군자적 출처, 민족사의 정통성과 자주성에 대한 자부, 역사와 현실에 대한 비판 등의 항목으로 살피는 한편, 당대의 현실을 핍진하게 시화한 詩史를 정치현실과 전화, 자신의 정치적 수난과 관련지어 분석함.

참고문헌

조동일, 한국문학통사
이가원, 한국한문학사
최해종, 한국한문학사
김태준, 조선한문학사
이종문, 고려 전기 문풍 연구
여운필, 이색 시 연구
김종진, 포은 한시 연구

기타

기타: 내용으로 구성
내용
TOP
전체메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