결과보고 요약문

결과보고 요약문: 과제구분, 과제코드, 연구과제명, 연구책임자, 공동연구자, 연구기간, 연구형태, 연구목적 및 배경, 연구방법 및 내용, 연구결과물 세부 목차, 연구결과, 참고문헌, 로 구성
과제구분 한국학 기초연구/공동연구과제
과제코드 2002-06
연구과제명
  • 국문 : 한국 지명 변천 연구
  • 영문 : -
연구책임자 최진옥
공동연구자
  • 김재명 / 원광대학교 / 부교수
연구기간 2002-03-22 ~ 2002-12-15 연구형태 공동연구
연구목적 및 배경

   시대와 역사의 변천과 함께 지명도 변천해왔다. 지방사, 향토사 연구뿐 아니라 전통시대를 다루는 한국한 연구에서 지리 및 지명에 대한 이해는 가장 기본이 되는 영역 중에 하나이다. 정치, 경제, 사회, 군사, 행정 등 각 분야의 기초를 이루고 있다는 점에서 지명 변천에 대한 연구는 절실히 요구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1965년에 나온 권상로의 한국지명연혁고이래로 지명 변천에 대한 기초작업은 이루어진 적이 없어 연구자들이 많은 불편을 겪어왔다. 지명 변천에 대한 연구의 필요성은 고문헌을 다루는 연구자뿐 아니라 지방자치제가 활성화됨에 따라 활발해진 지역연구가들의 요구에도 부합되는 것이라 생각한다.
   본 연구는 지명의 역사적 변천 내용을 데이터베이스화하여 학계에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방법 및 내용

연구방법
   기본적으로 문헌연구이며 모든 자료는 전산처리한다.
   1. 삼국사기』 『삼국유사』 『고려사와 같이 번역본이 있는 것은 번역본을 기본으로 하고 번역본이 없는 여지도서는 번역 작업을 먼저 한다.
   2. 군현단위로 명칭의 변천시기와 함께 변천 내용을 정리한다.
   3. 표제어에 대한 선정과 내용을 보완한다.
   4. 기존의 번역본을 이용해도 전체 체제에 맞게 윤문 작업을 거친다.
   5. 데이터베이스 구축을 위해 색인어에 대한 마크업 작업을 한다.

 

연구내용
   우리나라의 지명은 삼국시대 이래 조선시대에 이르기까지 나라가 바뀌고 지방행정제도가 바뀔 때마다 변해왔다. 따라서 지명은 한 시대의 역사와 사회를 이해하는 데 중요한 척도가 된다고 할 수 있다. 우리나라 고대 사서인 삼국사기를 비롯해 주요 史書에서 지리지를 다루고 있어 각종 사서와 지리지에 나타난 지명의 변천을 정리하면 우리나라 지명 변천의 연혁을 살펴볼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삼국사기, 삼국유사, 고려사, 세종실록 지리지, 동국여지승람, 여지도서, 문헌비고등의 지리 관련 내용을 시대별로 정리하여 한 지역의 명칭이 역사적으로 어떻게 변천해 갔는가를 밝히고자 한다.
   조선시대 360여개의 군현을 신증동국여지승람을 기준으로 하여 지명 명칭과 그 변천 시기 등을 각종 관련 자료에서 뽑아 사전식으로 정리하여 지명변천 과정을 알기 쉽게 하는 것이다. 먼저 사전으로 출판하고 이를 기초로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여 학계 및 일반인에게 CD-ROM 및 온라인으로 제공하도록 한다.

 

   연구자의 연구 분담은 다음과 같다.
      ∘ 김재명 : 삼국시대 고려시대
      ∘ 최진옥 : 조선시대

 

   연차별 지역 분담은 다음과 같다.
      ∘ 1차년도(2001) : 경상도, 경기도
      ∘ 2차년도(2002) : 전라도, 충청도, 황해도
      ∘ 3차년도(2003) : 평안도, 함경도, 총괄

연구결과물 세부 목차
연구결과

   1) 위에서 언급한 자료의 지리지에서 건치연혁, 경계, 坊面, 理程 등 관련 자료를 뽑아 기본적인 입력을 모두 마쳤다.
   2) 이 과정에서 번역본이 출간 안 된 대동지지』 『여지도서의 해당 부분에 대해서 번역을 먼저 하였다.
   3) 변천 시기와 관련된 왕력에 대한 내용을 서력기원으로 환산하기 위한 작업을 하고 있다.
   4) 사료별로 입력된 자료를 신증동국여지승람의 군현을 기초로 하여 각 군현별로 파일을 정리하여 총 363개의 파일로 정리하였다.
   5) 각 군현의 등급을 나타내는데 군현의 영속관계, 상하관계, 진관체제가 드러날 수 있도록 정리하였다.

참고문헌

기타

기타: 내용으로 구성
내용
TOP
전체메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