결과보고 요약문

결과보고 요약문: 과제구분, 과제코드, 연구과제명, 연구책임자, 공동연구자, 연구기간, 연구형태, 연구목적 및 배경, 연구방법 및 내용, 연구결과물 세부 목차, 연구결과, 참고문헌, 로 구성
과제구분 한국학 기초연구/공동연구과제
과제코드 2002-05
연구과제명
  • 국문 : 한국 名勝地의 답사 자료 연구, 1
  • 영문 : -
연구책임자 이종묵
공동연구자
  • 김건곤 / 본원 / 부교수
  • 정민 / 한양대학교 / 교수
  • 안대회 / 영남대학교 / 조교수
연구기간 2002-03-22 ~ 2002-12-15 연구형태 공동연구
연구목적 및 배경

   우리나라에는 세계에 알릴 만한 아름다운 승경이 있으며, 역사적이고 문화적인 배경을 가지고 있다. 그러나 과거의 문인들의 답사기가 매우 많이 전하고 있지만, 이들이 종합적으로 정리되지 못하고 있으며 더욱 제영에 대한 종합적 연구는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다. 이로 인하여 승경이나 유적지를 찾는 사람들에게 해당 지역의 역사적이고 문화적인 배경을 설명할 자료가 가공되어 있지 못한 실정이다. 유적지나 명승지의 피상적인 외관이 아니라 그 속의 정신 문화를 관광자원화하여야 하기 위하여, 과거 문인들이 명승 및 유적지의 답사 자료(제영 포함)를 체계적으로 정리함을 목적으로 한다. 이와 함께 본 연구의 결과물이 향토문화대전편찬을 위한 기초연구의 역할을 할 수 있도록 할 것이다.

연구방법 및 내용

연구방법
   (1) 자료 조사
      고려시대 자료 조사 : 김건곤
      15세기 자료 조사 : 이종묵
      16세기 자료 조사 : 정민, 안대회
   (2) 지역별 항목 추출
      자료 조사를 통하여 지역별로 항목을 추출함.
   (3) 항목 기술
      서울 경기 지역 : 이종묵
      경상 지역 : 김건곤
      충청 및 호남, 제주 : 안대회
      강원 및 북한 지역 : 정민

 

연구내용
   1. 5개년 연구 내용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내용을 중심으로 5개년 장기 계획으로 실행한다.
      1) 1차년도 : 고려 및 16세기 답사자료 연구
      2) 2차년도 : 17세기 답사자료 연구
      3) 3차년도 : 18세기 답사자료 연구
      4) 4차년도 : 19세기 답사자료 연구
      5) 5차년도 : 20세기 답사자료 연구
   2. 1차년도 연구 내용
      1) 고려시대 문집, 동문선 및 기타 선집 및 자료를 대상으로 하여 사찰, 누정, 객관, 사우, 전장, 명승 등에 대한 관련 항목을 추출하고
      2) 항목별로 자료 내용을 요약하여 자료집을 발간함.

연구결과물 세부 목차
연구결과

   고려시대로부터 조선 전기(15~16세기)에 이르기까지 활동했던 문인들에 의해 작성된 명승 및 유적지의 답사자료를 樓亭記遊記를 중심으로 저자, 누정의 위치, 건립 의도와 과정, 후대의 題詠과 평가를 종합하여 지역별로 분류하였다. 작성한 해제의 수는 총 719건으로, 지역별로는 다음과 같다. 서울 지역 101, 인천 및 경기 지역 123, 강원 지역 40, 충청 지역 70, 영남 지역 189, 호남 및 제주도 지역 76, 북한 및 기타 지역 120.

참고문헌

기타

기타: 내용으로 구성
내용
TOP
전체메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