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목적 및 배경 |
이 연구는 근대 한국(조선)의 국내외적 위기상황을 극복하기 위한 당시 지식인, 정치가의 개혁구상과 정치외교적 활동을 갑신정변과 갑오개혁을 주도한 초기 개화파 지도자중의 한 사람인 朴泳孝(1861-1939)라는 한 인물의 생애와 정치사상, 그리고 개혁활동을 중심으로 재조명하고자 한다.
전통사회로부터 근대사회로 전환되는 과도기에 처했던 근대 한국의 상황은 국제적으로는 동북아를 포함한 국제질서의 재편과정, 국내적으로는 전통 왕조체제로부터 근대 민주주의체제로의 전환 모색, 그리고 민의 측면에서는 전통적 우민사상으로부터 민의 계몽과 정치적 참여가 논의되는 시기였다. 이러한 근대 한국의 역사적, 사상사적 특성은 당시 서구의 제 문물과 제도, 사상 등을 견문하고 조선의 근대화를 앞당기기 위한 일련의 개혁활동을 추진한 개화파, 특히 갑신정변과 갑오개혁 당시 주도적 역할을 담당한 박영효에게 있어 두드러지게 나타나고 있다. 그렇지만, 박영효의 경우에는 친일파 시비로 그동안 김옥균, 유길준 등 당대의 개화파에 비하여 현재까지 국내외 학계에서 제대로 평가받지 못하고 있으며, 그의 개혁구상 및 일련의 정변시도 등은 정치적 중요성에도 불구하고 자세히 밝혀지지 않았다.
이에 박영효라는 인물의 생애와 활동을 통해 당시 근대 조선의 정치적, 역사적 과제와 이 극복하려는 시도를 재조명하고, 당시 박영효와 근대 한국의 주요 지식인 및 정치가들과의 연관성을 자세히 살펴봄으로써, 근대 조선이 처한 복잡한 국내외적 환경과 근대화 시도들을 상세하게 밝히고자 한다.
|
연구방법 및 내용 |
제2부 근현대인물연구(박영효): 유병용, 김현철, 윤병희, 김성배
개화기 박영효의 개혁사상과 정치, 외교활동을 자세히 설명하고 그 정치사적, 사상사적 의의를 재조명 및 해석하기 위해 연구자들이 다음 각 소주제별로 분담하여 공동연구를 진행하고자 한다.
1. 한일관계와 박영효의 외교활동 (유병용: 본원 교수)
2. 박영효의 「1888년 상소문」에 나타난 문명개화론 (김현철: 본원 초빙연구원)
3. 갑신 · 갑오개혁 시기 박영효의 개혁활동 (김성배: 서울대 강사)
4. 갑오개혁 이후 박영효의 행적과 활동 (윤병희: 국사편찬위원회 연구관)
위에서 언급한 주요 내용들을 살펴보기 위해서는 관련 역사 사료를 수집하고 이에 대한 해석 및 정리, 분석 작업을 하는 한편, 관련된 국내외 기존 연구를 분석 및 평가하는 작업을 병행함이 필요하다. 그 과정에서 한국 근현대사를 전공한 역사학자, 그리고 한일관계 등 근대 동북아 국제관계 및 근대한국정치사상을 전공한 정치학자들이 자주 모여서 관련 자료 및 주요 사항에 대하여 토론을 함으로써 학제간 공동연구의 이점을 최대한 살리고자 한다.
이상의 연구를 효과적으로 수행하기 위해서는 일년 동안 연구 참여자간 워크샵 또는 회합을 자주 갖도록 하며, 책임연구자에 의해 실무적으로 연구일정이 전체적으로 관리되도록 할 것이다.
✳ 연구결과의 기대 효과 및 활용
이 연구는 근대 한국에 정치적, 외교적으로 매우 주요한 활동을 하였음에도 불구하고 그동안 국내 역사학계와 정치학계에서 간과되어왔던 박영효라는 인물을 각 주제별로 자세히 살펴봄으로써, 한국 근현대사에서 상대적으로 연구가 소홀했던 인물을 발굴 내지 재조명하여 근현대 한국의 정치와 사회문화에 대한 이해를 돕고 관련 연구활동을 지원하고자 하는 본 연구원의 연구지원사업의 취지와도 부합된다.
이 연구가 계획대로 진행되고 연구결과물이 출판될 경우, 이는 박영효에 관한 국내의 본격적인 연구가 될 것이며, 한국근대사를 전공하는 역사학계 및 근대한국의 국제관계와 한국정치사상을 연구하는 정치학계 등에 크게 기여할 것으로 예상된다.
그리고 본 연구과정에서 발굴 내지 수집되는 박영효 및 관련 사항에 관한 1차 자료 및 외국의 연구 성과들은 향후 근대 한국의 정치, 외교, 사상 등을 연구하는 국내외 연구자들에게 크게 활용될 것으로 기대되며, 박영효 등 개화파에 대한 학문적 관심을 촉발할 것으로 기대된다.
|
연구결과물 세부 목차 |
▨ 제 1 장 한일관계와 박영효의 외교활동
················· 유 병 용
1. 서론
2. 갑신정변 주도 개화파의 정치적 부각과 대일 접촉
1) 박영효의 성장배경과 갑신정변 주도 개화파의 형성
2) 이동인의 방일 주선과 일본과의 접촉 시도
3. 1882년 방일외교활동과 한일교류
1) 1882년 수신사절의 파견과 일본내 행적
2) 한일간 외교현안의 해결과 개화파의 외교활동
3) 수신사로 방일 당시 한일간 문화, 정치적 교류
4. 결론
▨ 제 2 장 朴泳孝의 「1888년 상소문」에 나타난 문명개화론
················· 김 현 철
1. 머리말
2. 개화파의 지적배경과 「1888년 상소문」의 작성
1) 정치적 배경과 의의 : 갑신정변의 실패와 일본 망명 중 정치적 재기의 모색
2) 사상적 배경과 의의
3. 개화기 조선의 위기와 새로운 국가체제의 모색
1) 개화파의 위기인식과 서구 근대문명국가상의 수용
2) 개혁 이념과 정부의 역할
4. 서구 자유민권론의 수용과 변용
1) 서구적 권리 개념의 수용과 ‘通義’론의 전개
2) 서구 자유 개념의 수용과 변용
3) 민의 계몽과 복지 향상
5. 맺음말
▨ 제 3 장 甲申 · 甲午改革 時期 朴泳孝의 改革活動
················· 김 성 배
1. 머리말
2. 開化黨의 형성과 朴泳孝
1) 初期開化派와 開化黨의 형성
2) 朴泳孝의 초기 改革政策
3. 甲申政變과 朴泳孝
1) 狀況認識과 政變의 모색
2) 甲申政變 시기의 활동과 政變의 失敗
4. 甲午改革 시기의 改革活動
1) 甲午改革의 전개와 朴泳孝의 內政改革
2) 甲午改革 시기의 朴泳孝 評價
▨ 제 4 장 甲午改革 이후 朴泳孝의 행적과 활동
················· 윤 병 희
1. 머리말
2. 정계복귀 시도
1) 俄館播遷 시기
2) 獨立協會를 통해서
3) 活貧黨을 이용하여
3. 朝日新塾 설립
4. 귀국
5. 맺는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