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제구분 | 한국학 기초연구/단독논문게재형과제 | ||
---|---|---|---|
과제코드 | 2005-21 | ||
연구과제명 |
|
||
연구책임자 | 박흥기 | ||
공동연구자 |
|
||
연구기간 | 2005-04-22 ~ 2006-11-30 | 연구형태 | 단독저술연구 |
연구목적 및 배경 | (1) 茶山 정약용(1762-1836)은 중세적인 세계관에 종말을 고하려는 근대화의 기수 또는 한국 실학의 집대성자로 흔히 평가되어 왔음. 근데 이런 평가에 대하여 비판적인 입장도 개진되고 있으나 대체로 비판의 근거가 명확하지 못함. (2) 이 저술에서는 茶山과 비슷한 시기에 유사한 문제의식을 지니고 유럽 근대화의 길을 성공적으로 제시한 영국의 Adam Smith(1723-1790)와 다산의 사상체계를 비교해 봄으로써 다산 사상이 지닌 한계와 문제점을 좀더 체계적으로 정리해 보고자 함. (3) 이런 연구는 한국 사회 그리고 나아가 동양 사회가 오늘날까지 지속하고 있는 근대성/근대화와 연관된 논쟁의 본질을 파악하는 데에도 도움이 될 것임. |
||
연구방법 및 내용 | 연구내용: 연구내용은 잠정적으로 아래에 제시한 대락적인 목차의 형태로 구성하고자 함.
제1장. 왜 茶山 정약용과 Adam Smith인가? - 연구의 목적과 방법 - 다산에 관한 기존 연구의 비판적 분석 - 근대성과 관련하여 제기되고 있는 문제들 - 다산 정약용과 Adam Smith 비교의 필요성
제2장. 역사적 전환기의 시대 상황 - 중세에서 근대로의 역사적 전환 - 영·정조 시대를 전후한 조선의 시대 상황 - 18세기 중반 이후의 영국과 유럽의 시대 상황 - 두 시대 상황의 비교
제3장. 다산 정약용과 Adam Smith가 인지한 시대적 과제 - 이론적 과제: 周禮에 의한 王政의 질서원리(茶山)/근대시민사회의 구성원리 탐색(Smith) - 실천적 과제: 중세성의 탈피와 근대화의 추진 - 시대적 과제의 비판적 비교
제4장: 다산 정약용과 Adam Smith의 사상체계 - 종교관; 인성론; 윤리관; 법과 정의관 - 사회관: 개인과 사회(공동체)의 의미와 상호 관계에 대한 인식 - 경제관: 國富의 의미와 증진 방안 - 두 사상체계의 비교 검토
제5장: 근대성의 의미와 사회질서의 多重性 - 근대성/근대화의 의미: 사회(호혜)/정치(재분배)/경제(시장)의 분리 과정과 理性의 역할 - 사회질서: 미시질서와 거시질서/單純系와 複雜系 - 다산 정약용이 지닌 사상체계의 상대적 위치
제6장 결론: 茶山 사상은 근대화의 초석이 될 수 있는가? - Adam Smith와 다산 이후의 영국(서양사회)와 조선(동양사회)의 전개 양상 - 서양의 躍進과 동양의 停滯 - Adam Smith와 서구의 근대화 - 다산 사상의 가능성과 한계 - 두 사상체계의 상호 보완 가능성: 개인의 새로운 발전과 공동체 의미의 재해석
연구방법: 문헌자료를 중심으로 한 비교 연구 |
||
연구결과물 세부 목차 | |||
연구결과 | |||
참고문헌 | 고승제, 『다산을 찾아서』, 서울: 중앙일보사, 1995. 금장태, 『朝鮮 後期의 儒學思想』, 서울: 서울대학교 출판부, 1998. 금장태, 『丁若鏞 - 한국 실학의 집대성』, 서울: 성균관대학교 출판부, 1999. 금장태, 『다산실학탐구』, 서울: 소학사, 2001. 김형효, 『원효에서 다산까지』, 성남: 청계, 2000. 김형효 외, 『茶山의 사상과 그 현대적 의미』, 성남: 한국정신문화연구원, 1998. 문옥표 외, 『동아시아 문화전통과 현대사회』, 서울: 백산서당, 2001. 박석무, 『다산 정약용 유배지에서 만나다』, 서울: 한길사, 2003 박우희, 『한국 자본주의의 정신』, 서울: 박영사, 2001. 이영훈 편, 『수량경제사로 다시 본 조선후기』, 서울: 서울대학교 출판부, 2004. 이환, 『근대성, 아시아적 가치, 세계화』, 서울: 문학과 지성사, 1999. 장승구, 『정약용과 실천의 철학 – 다산 철학의 근대성 탐구』, 서울: 서광사, 2001. 차성환, 글로벌 시대 정약용 세계관의 가능성과 한계 – 주희에 대한 비판을 중심으로』, 서울: 집문당, 2002. 한형조, 『주희에서 정약용으로 – 조선 유학의 패러다임 연구』, 서울: 세계사, 1996. 홍덕기, 『茶山 丁若鏞의 土地改革思想』, 전남: 전남대학교 출판부, 2001.
Fitzgibbons, Athol. Adam Smith’s System of Liberty, Wealth, and Virtue: The Moral and Political Foundations of The Wealth of Nations, Oxford: Clarendon Press, 1995. Griswold, Charles L., Jr., Adam Smith and the Virtues of Enlightment, Cambridge: Cambriidge University Press, 1999. Nifbett, Richard E., The Geography of Thought: How Asians and Westerners think differently, 최인철 옮김, 『생각의 지도』, 서울: 김영사, 2004. Skinner, Andrew S., A Ststem of Social Science: Papers Relating to Adam Smith, Oxford: Clarendon Press, 1996. Stiglitz, Joseph E and Shehid Yusuf (eds.), Rethinking the East Asian Miracle, Oxford: Oxford University Press, 2001. Tu, Wei-Ming (ed), Confucian Traditions in East Asian Modernity: Moral Education and Economic Culture in Japan and the Four Mini-Dragons, Cambridge: Harvard Universuty Press, 1996. Zhang, Wei-Bin, On Adam Smith and Confucius: The Theory of Moral Sentiments and the Analects, New York, Nova Science publishers, 2000. |
내용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