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제구분 | 한국학 기초연구/모노그래프과제 | ||
---|---|---|---|
과제코드 | 2009-14 | ||
연구과제명 |
|
||
연구책임자 | 박흥기 | ||
공동연구자 |
|
||
연구기간 | 2009-04-01 ~ 2010-11-30 | 연구형태 | 단독저술 |
연구목적 및 배경 | 오늘날 보이지 않는 손이란 개념은 널리 쓰이고 있으나 사용자에 따라 그 내용이 다양하여 정상적 소통이 어려울 지경임; 그리고 각자가 이해하고 있는 바에 따라 보이지 않는 손이 존재하지 않는다는 주장부터 보이지 않는 손의 기능을 훼손해서는 안 된다는 주장까지 다양한 견해가 제시되고 있음; 이런 상황을 구체적 예로 적시한 다음 그 원인의 소재에 관하여 살펴보고, 아담 스미스가 사용한 보이지 않는 손 개념의 참된 의미가 무엇인지, 그리고 이런 논의가 시장경제와 계획경제, 시장과 정부(국가), 남한 경제와 북한 경제에 어떤 함의를 지니고 있는지에 이 책 저술의 목적이 있음을 밝혔음 |
||
연구방법 및 내용 | 아담 스미스는 그의 전 저작을 통하여 〈보이지 않는 손〉이란 용어를 상이한 맥락에서 세 차례 사용하였음; 따라서 어떤 보이지 않는 손을 염두에 두고 논의를 전개하느냐에 따라 내용이 달라질 수 있는데 많은 학자들은 이를 무시하고 자기가 이해한 의미대로 아담 스미스가 그것을 사용했다고 자의적으로 판단하고 자기주장을 합리화하려고 하여 결국 혼란이 가중되었음 |
||
연구결과물 세부 목차 | |||
연구결과 | 아담 스미스는 그의 전 저작을 통하여 세 군데에서 보이지 않는 손이란 개념을 사용하였음; 각각의 보이지 않는 손은 상이한 맥락에서 조금씩 다른 의미로 사용되었기 때문에 어디에서 사용한 것인지 밝히지 않고 단순히 아담 스미스의 〈보이지 않는 손〉이라고만 해서는 올바른 논의의 전개가 어려움에도 불구하고 많은 학자들은 보이지 않는 손과 관련된 주장을 펴면서 어떤 보이지 않는 손인지 밝히지 않아 혼란이 가중되고 있음; 아담 스미스의 보이지 않는 손은 첫째로 방법론, 둘째로 형이상학과 인식론, 그리고 셋째로 정치경제학과 밀접한 연관을 맺고 있는 삼위일체의 개념임을 밝혔음; 그리고 이런 올바른 이해를 바탕으로 보이지 않는 손이란 개념을 사용했을 때 비로소 아담 스미스가 제기한 문제와 그 해결 방안을 올바로 이해할 수 있다는 점을 강조하였음.
○ 기대효과 및 활용방안 |
||
참고문헌 |
내용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