결과보고 요약문

결과보고 요약문: 과제구분, 과제코드, 연구과제명, 연구책임자, 공동연구자, 연구기간, 연구형태, 연구목적 및 배경, 연구방법 및 내용, 연구결과물 세부 목차, 연구결과, 참고문헌, 로 구성
과제구분 한국학 기초연구/모노그래프과제
과제코드 2007-32
연구과제명
  • 국문 : 장서각 소장 어필자료 연구 (藏書閣 所藏 御筆資料 硏究)
  • 영문 : A Study on the Royal Calligraphies of the Joseon Dynasty in Jangseo-gak Royal Library
연구책임자 이완우
공동연구자
  • - / - / -
연구기간 2006-05-22 ~ 2007-11-30 연구형태 단독저서
연구목적 및 배경

   장서각 소장의 조선왕조 御筆類에 대한 연구를 위해 어필에 대한 명확한 서지(書誌) 사항과 이를 정리한 종합목록을 작성한다. 다음, 이를 바탕으로 장서각 소장 어필들을 실사(實査)하여 전래 과정, 종류와 성격, 관련 문허사료의 검토, 어필의 모간(摹刊) 사례 및 간본의 종류와 내용, 각 어필의 서풍적 특징과 왕실서풍의 계승과 변모 과정, 어필의 문화사적 · 서예사적 의의 등을 살펴보려고 한다.

연구방법 및 내용

   먼저 기존의 목록서를 통해 연구대상 어필자료를 선정하고, 이에 관한 문헌사료를 참고하여 찬자(撰者)의 서자(書者) 그리고 제작연대 등을 고증한다. 그 다음 조사대상 어필을 실사(實査)함으로써 상세한 서지적 기초제원을 확보하고, 각각에 대한 기초 해제를 작성한다.

   다음 종류별로 분류한 각 어필에 대한 원고를 작성하고, 특히 조선후기부터 간행되기 시작한 열성어필에 관하여 판본 종류, 제작 과정 등을 살펴본다. 그 다음 각 어필의 서풍 상의 특징과 왕실서풍의 계승 및 변화 과정을 탐색하며, 끝으로 조선시대 어필이 지닌 문화사적, 미술사적 의의를 살펴본다. 어필에 대한 조사연구의 방법을 아래와 같이 한다.

 

   첫째, 墨蹟類는 먼저 진적(眞蹟)과 임모서(臨摹書)로 대별하고, 특히 임모서의 제작 배경과 종류 및 서예사적 가치를 살펴본다.
   둘째, 모각류(摹刻類)는 장서각 소장 어필류의 상당수를 차지한다. 한 임금의 필적을 새긴 단독어필(單獨御筆)과 여러 임금의 어필을 함께 모각한 열성어필(列聖御筆)로 대별된다. 특히 17세기부터 빈번하게 간행되기 시작한 열성어필 판각본의 간본 종류와 제작연대의 확인 및 추정, 제작자, 주무 관청, 모각 및 장첩(粧帖) 기술 등을 살펴본다.
   셋째, 비지류(碑誌類)는 장서각 소장 어필류의 많은 부분을 차지한다. 비지류는 비명(碑銘) 탁본과 지석(誌石) 탁본 및 기타 금석 탁본으로 대별된다. 종류로서는 능원비(陵園碑), 묘비(墓碑), 신도비(神道碑), 사적비(事蹟碑), 구기비(舊基碑) 등의 비명과 태실비(胎室碑), 묘지(墓誌) 등의 지석류가 있다. 이들의 제작배경과 제작연대, 각 어필에 나타난 서풍적 특징 등을 살펴본다.

연구결과물 세부 목차

I. 머리말

II. 조선시대 어필의 刊行
   1. 조선후기 《列聖御筆》의 摹刊
   2. 조선후기 《列聖御筆》의 廣布
   3. 單獨 어필의 간행
   4. 조선시대 御筆刊行의 의의

III. 藏書閣 소장 御筆資料의 연구
   1. 장서각 소장 어필자료의 蒐集과 收藏
   2. 墨蹟類: 肅宗御筆, 英祖御筆 등
   3. 摹刻類: 《列聖御筆》 등
   4. 碑誌類 등 기타

IV. 조선시대 어필: 尊慕와 愛民이 표상
   1. 어필에 대한 認識
   2. 어필의 蒐集과 奉安

V. 조선시대 어필의 書風
   1. 太祖~明宗의 서풍
   2. 宣祖~英祖의 서풍
   3. 正祖~純宗의 서풍
   4. 王后의 서풍

VI. 조선시대 어필의 現在的 의미

 

부록 1. 『乙巳列聖御筆刊進及景宗大王御筆屛風謄錄』 해제
       2. 藏書閣 소장 御製御筆 碑誌類 해제

연구결과

   문헌사료의 정리와 일차자료인 어필의 목록 작성, 그리고 기초사료에 대한 필자 및 연대 판정을 실시하였다. 또한 연구기간 2차년도(2007년)에 계획했던 논문 집필을 앞당겨 일부의 장(章)을 작성하였다. 제II장 '조선시대 어필의 刊行'에서는 조선후기 《列聖御筆》의 摹刊과 廣布, 單獨 어필의 간행, 조선시대 御筆刊行의 의의를 살펴보았다. 제III장 '藏書閣 소장 御筆資料의 연구'에서는 1. 장서각 소장 어필자료의 蒐集과 收藏, 2. 墨蹟類: 肅宗御筆, 英祖御筆 등, 3. 摹刻類: 《列聖御筆》 등, 4. 碑誌類 등을 다루었다. 제IV장 '조선시대 어필: 尊慕와 愛民이 표상'에서는 1. 어필에 대한 왕실과 일반 文士의 認識, 2. 궁중에서의 어필의 蒐集과 奉安에 대해 살펴보았다.

   이러한 기초조사를 바탕으로 제V장 '조선시대 御筆 書風'에서는 전기(태조~선조), 중기(선조~영조), 후기(정조~순종)의 어필 서풍을 일별하여 조선왕실에서의 어필 서풍의 변화과정을 조선왕조 서예사의 흐름과 관련하여 살펴보았다.

 

○ 기대효과 및 활용방안
   장서각 소장 조선왕조 어필에 대한 종합적인 개관과 정보를 제공할 것이다. 또 조선후기에 수차 행해졌던 《열성어필 列聖御筆》의 摹刊과 廣布, 조선왕조 어필의 문화사적 의미, 어필 모간에 관한 유일한 기록인 『乙巳列聖御筆刊進謄錄』의 개관과 분석 등은 조선시대 서예사 연구의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참고문헌

기타

기타: 내용으로 구성
내용
TOP
전체메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