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제구분 | 한국학 기초연구/정책과제 | ||
---|---|---|---|
과제코드 | 2007-36-8 | ||
연구과제명 |
|
||
연구책임자 | 정순우 | ||
공동연구자 |
|
||
연구기간 | 2007-11-09 ~ 2008-03-31 | 연구형태 | 자체연구 |
연구목적 및 배경 | 한국학대학원은 1980년 3월 5일 한국학 제분야의 심오한 이론을 탐구하고 민족문화의 발전에 기여할 차세대 한국학자를 양성하기 위한 목적으로 설립되었다. 한국학대학원은 개원이후 현재까지 501명에게 석사학위를 수여했고, 243명에게 박사학위를 수여했다. 박사학위 취득자들은 대부분 국내외의 대학과 연구기관에서 역량 있는 학자로서 연구와 교육에 종사(93%)하고 있다. 이러한 업적과 성과에도 불구하고, 최근 국내 대학가에 번지고 있는 인문학의 위기로 인하여 수준 높은 국내 학생들의 한국학대학원 진학감소, 또한 이와는 정반대인 외국 학생들의 급격한 증가와 같은 변화에 직면하고 있는 한국학대학원은 이러한 중차대한 시기를 위기와 기회의 시대로 인식하고, 이에 대처하기 위하여 경쟁력을 갖춘 후속세대 양성을 목표로 혁신적인 개혁 프로그램을 마련하여 적용할 필요성을 인식하게 되었다.
본 연구는 한국학대학원 설립 30주년을 앞두고 그동안의 한국학대학원 운영 전반에 대한 비판적 검토를 통하여 문제점을 발견하고, 이에 대한 개선 방안을 마련하여 새로운 환경인 세계화 시대에 적용할 수 있는 한국학대학원 운영의 혁신방안을 구안하고자 하였다. |
||
연구방법 및 내용 | ○ 연구방법 문헌연구를 바탕으로 분야별로 주제를 분담하여 각 연구원들이 자료수집과 검토를 통해 제안서를 작성하고, 약 10여 차례의 집중적인 워크숍을 통하여 심도 있는 토론 및 교수와 학생들의 의견을 수렴하였다. 그 결과 작성된 최종 개혁안을 3월 31일 발표회를 통하여 보완한 뒤 최종 보고서에 반영하였다.
○ 연구내용 ▨ 정순우 - 한국학대학원 개혁의 목표와 방향 |
||
연구결과물 세부 목차 | |||
연구결과 | 연구 결과, 한국학대학원의 이념 및 목표 설정, 계열 및 전공 편제 · 교과과정 개혁안, 장학 · 복지제도와 혁신 방안의 크게 세 가지 주제로 구성된 개혁안을 마련하였다.
○ 기대효과 및 활용방안 |
||
참고문헌 |
내용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