결과보고 요약문

결과보고 요약문: 과제구분, 과제코드, 연구과제명, 연구책임자, 공동연구자, 연구기간, 연구형태, 연구목적 및 배경, 연구방법 및 내용, 연구결과물 세부 목차, 연구결과, 참고문헌, 로 구성
과제구분 한국학 기초연구/정책과제
과제코드 2007-36-7
연구과제명
  • 국문 : 한국학 영역별 중장기 연구사업 과제 개발 연구 - 장서각 자료 분야 연구
  • 영문 : -
연구책임자 심재우
공동연구자
  • 신대철 / 한국학중앙연구원 / 교수
  • 임치균 / 한국학중앙연구원 / 교수
  • 전경목 / 한국학중앙연구원 / 부교수
  • 옥영정 / 한국학중앙연구원 / 조교수
연구기간 2007-11-09 ~ 2008-02-29 연구형태 정책과제
연구목적 및 배경

   장서각 자료의 가치는 왕실 자료로서의 예술성, 역사 자료로서의 기록성, 특수 자료로서의 희귀성을 지니고 있다.

   그런데 장서각 자료는 중요성에 비해 연구에 본격 활용되지는 못했다. 문학, 역사학, 미술사학, 고문서학, 음악학 등 여러 분야에서 자료를 활용한 연구를 수행하였지만, 자료의 목록 · 해제 · 영인 · 탈초 · 역주 등 국학 기초자료의 토대 구축에 머물러 본격적인 연구 성과의 축적이나 학제간 연구 활성화는 미흡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는 그동안 소홀했던 장서각 자료를 활용한 한국학의 다양한 분야에서의 연구 주제를 개발하고, 넓은 시야에서 연구 목적이나 방법론을 모색하는 것에 초점을 두고 연구를 진행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및 내용

   본 연구는 장서각 자료를 대상으로 하여 각 분야별 중장기 연구 주제를 발굴하는 것이 목적이다. 따라서 이를 위해 한국학의 각 분야별 연구자들이 공동으로 참여하여 학제간 연구를 진행한다.

   특히 장서각 자료의 활용 빈도가 높은 학문 분야, 즉 고전문학, 음악학, 역사학, 서지학, 고문서 분야의 연구자들이 공동 연구원으로 참여한다. 이들 연구원들은 첫째, 각 분야별로 연구 성과와 한계를 점검하고, 둘째, 분야별 심층 연구 주제를 개발하고, 셋째, 나아가 학제간 연구주제 마련을 위한 방법론을 모색한다.

 

   각 공동연구자별 분담 주제는 다음과 같다.

   ○ 심재우 : 왕실문화 관련 연구 주제 개발 및 연구 활성화 방안
   ○ 신대철 : 한국음악학 분야에서의 장서각 자료 활용 방안 연구
   ○ 임치균 : 낙선재본 고전소설을 활용한 고전문학 연구주제 개발
   ○ 전경목 : 장서각 소장 고문서 자료의 연구와 활용방안
   ○ 옥영정 : 장서각 고서의 수집 정리 현황과 연구 과제

연구결과물 세부 목차
연구결과

   본 연구결과 도출된 연구 결과와 제안 내용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장서각 자료에 대한 목록 작업, 해제 작업 등 기초작업의 현황을 정리하였고, 연구 주제 개발에 앞서 기초 작업의 방향과 의미를 정리하였다.

   둘째, 장서각 자료가 고전소설 및 음악학 연구에 귀중한 자료임을 확인하였고, 연구 활성화를 위한 다양한 연구 주제를 제시하였다.

   셋째, 장서각 왕실도서 연구 활성화를 통해 장서각의 위상을 왕실문화연구센터로 확립하는 방안을 모색하였다.

   넷째, 장서각 수집 고문서, 고서의 중요성과 활용 방안도 함께 제시하였다.

 

○ 기대효과 및 활용방안
   장서각 자료를 활용한 한국학의 다양한 연구 주제를 모색하는 것이 목적인 본 연구가 효과적으로 수행된다면 일차적으로 급격한 근대화, 전통의 단절 등으로 인하여 왜곡된 조선왕조의 역사상을 수정할 수 있을 것이며, 새로 개발한 과제의 연구를 통하여 조선왕조 정치, 경제, 문학, 예술, 출판문화의 특성에 대한 이해의 폭을 확대할 수 있을 것이다.
   아울러 장서각의 중장기 사업과 왕실문화 전문 연구인력의 양성과 교육에 도움을 줄 것이다. 즉 장서각 소장 다양한 왕실자료의 해제, 영인, 연구사업 활성화에 기여하며, 동시에 문헌학, 역사학, 한문학, 미술사학 등 관련 전공자들의 연구자료 활용, 새로운 연구방법의 모색에 기여할 것이다.
   이밖에 장서각 자료에 대한 2차적인 활용에도 도움을 줄 것이다. 즉 최근 사회적 수요가 증가하고 있는 문화, 관광, 산업 분야의 사업 발굴에 기초적인 자료를 제공해줄 수 있을 것이며, 나아가 한국역사정보통합시스템 구축사업(정통부), 국가문화유산종합정보시스템 구축사업(문광부) 등 전산화 및 콘텐츠 개발사업의 활성화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참고문헌

기타

기타: 내용으로 구성
내용
TOP
전체메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