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제구분 | 한국학 기초연구/정책과제 | ||
---|---|---|---|
과제코드 | 2007-36-4 | ||
연구과제명 |
|
||
연구책임자 | 강돈구 | ||
공동연구자 |
|
||
연구기간 | 2007-11-09 ~ 2008-02-29 | 연구형태 | |
연구목적 및 배경 | 한국학중앙연구원은 1978년 설립 이래 한국 문화의 심층 연구 및 교육 등을 통한 한국학 진흥 사업을 진행해왔다. 2005년 2월 기존의 명칭이 한국정신문화연구원에서 한국학중앙연구원으로 변경된 것은 한국학중앙연구원이 한국학의 총본산이 되어야 한다는 점을 시사한다. 이는 다시 한국학중앙연구원이 한국학의 메카(mecca)가 되어 한국학 관련 사업을 총괄하고, 나아가 한국학 관련 국내외 연구자들과 연구 기관들을 연계할 수 있는 허브(herb) 역할을 해야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한국학의 메카와 한국학 연구 기관들의 허브 역할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 각 역할의 매개체로서 한국학 각 분야의 중장기 연구사업 과제를 필요로 한다. 앞서 언급하였듯이 한국학중앙연구원이 한국학의 메카와 한국학 연구 기관들의 허브 역할을 수행하려면 한국학 각 분야에서 중장기 연구사업 과제가 개발되어야 한다. 한국학중앙연구원은 중장기 연구사업 과제들과 그 진행을 통해 한국학 분야의 총본산으로 각인될 수 있고, 한국학의 세계화에도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학 분야 가운데 문화와 종교 분야에 주목하여 중장기 연구 사업 과제를 개발하는 데에 있다. |
||
연구방법 및 내용 | 본 연구의 범위는 문화와 종교 분야에 한정된다. 그리고 진행 방법은 연구자들이 각각의 중장기 연구과제 사업들을 개발한 후 상호 협의 하에 실천 가능성이 높은 과제들을 선정하는 것이다. 본 연구는 문화와 종교 분야의 토대자료 구축과 정보화, 그리고 문화와 종교 분야의 유관 기관과의 연구 네트워크 구축이라는 두 가지 방향을 감안하여 진행되었다. 문화와 종교 분야의 중장기 연구사업 과제들도 이러한 방향에 따라 개발되었다. 문화와 종교 분야의 장기 연구사업 과제는 크게 토대자료 구축과 정보화 사업과 연구 네트워크 기반 공동사업으로 구성되었다. 그리고 중기 연구사업 과제는 장기 연구사업 과제를 감안하여 크게 발간 사업과 연구 사업으로 구분되었다. |
||
연구결과물 세부 목차 | |||
연구결과 | 본 연구소가 개발한 문화와 종교 분야의 장기 연구사업 과제는 ①한국종교 문헌총람 발간과 정보화 사업, ②한국 종교교단 실태 조사 사업, ③한국종교의 해외 연구 성과 집적과 연구 사업, ④한국종교의 해외 자료 소재 파악과 집적 사업, ⑤국내외 한국종교 연구 데이터베이스 구축 사업, ⑥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의 개정 증보 사업, 그리고 ⑦국내외 유관 기관과의 연구 네트워크 구축을 감안한 다양한 공동 사업 등이다. 그리고 중기 연구사업 과제 가운데 발간 사업으로 개발된 것은 ①문화와 종교 분야 번역 발간, ②종교 성지 지도와 해설서 발간, ③종교문화 사전 발간, ④종교문화 주제별 연구서 발간 등이다. 연구 사업에는 ①상품의 생산, 유통, 소비를 통해 본 동아시아의 의미, ②조선족 디아스포라 연구, ③한국 사회 속의 '이방인들', ④외국인 배우자 및 입양 증가와 가족 · 친족 관념의 변화, ⑤외국인 이주민의 한국사회 적응과 종교, ⑥한국 종교 현안 연구, ⑦한국사회의 민족주의: 변화와 지속, ⑧종교와 제례양식의 상호관계, ⑨한국의 음식문화와 지구화, ⑩한류와 혐한류의 담론 분석, ⑪개발과 환경의 딜레마: 한반도대운하사업을 중심으로, ⑫종교문화콘텐츠 연구, ⑬조선시대 왕실종교문화 연구, ⑭각론적 종교 교단 연구 등이 개발되었다.
○ 기대효과 및 활용방안 |
||
참고문헌 |
내용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