결과보고 요약문

결과보고 요약문: 과제구분, 과제코드, 연구과제명, 연구책임자, 공동연구자, 연구기간, 연구형태, 연구목적 및 배경, 연구방법 및 내용, 연구결과물 세부 목차, 연구결과, 참고문헌, 로 구성
과제구분 한국학 기초연구/단독논문게재형과제
과제코드 2007-27
연구과제명
  • 국문 : 19세기 전반 충청도 지역 지방통치와 사회문제 연구 ㅡ1833년 암행어사 황협의 『繡行紀事』 분석을 중심으로ㅡ
  • 영문 : A Study on Local Ruling and Social Problem of Chungcheong Province in the early 19th Century
연구책임자 심재우
공동연구자
  • - / - / -
연구기간 2007-05-31 ~ 2007-11-30 연구형태 개인과제
연구목적 및 배경

   기존의 조선후기사 연구에서는 사회변동의 지역별 양상, 민의 사회적 갈등양상을 적극 분석하려한 시도가 적었다. 그리고 사회변동 연구의 전제가 되어야 할 조선왕조 정치체제, 王權과 政治權力의 성격에 대한 논의가 충분히 이루어지지 못했다. 본 연구는 이같은 연구사적 한계를 일정하게 극복하기 위해서 1833년 관리 황협이 남긴 『繡行紀事』 분석을 중심으로 이 무렵 충청도 지역사회의 동향과 사회상을 구체적으로 해명하기 위해 시도되었다.

   『수행기사』는 충청우도에 파견된 암행어사 황협이 암행어사에 파견되는 과정을 시작으로 그가 염탐한 내용, 지방관에 대한 평가 등을 적은 책자로서,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등에 소장되어 있는 필사본 자료이다. 암행어사 관련 기록은 암행어사가 염탐한 지역사회 동향을 생생히 보여준다는 점에서 연구에 활용되었지만, 본 연구에서 다루고자 하는 『수행기사』는 그동안 주목받지 못했던 자료이다.

   본 연구는 충청도 지역사례를 대상으로 하였지만, 본 연구 출발은 조선후기 지역사회 기층민의 동향과 함께 지배층의 움직임도 아울러 검토하는 데 유용한 사례 연구가 될 것이라는 문제의식에서 시작되었다.

연구방법 및 내용

   본 연구는 위에서 소개한 『수행기사』의 분석을 기초로 관련 연대기 자료를 동원하여 아래와 같이 크게 세 가지 내용을 해명하였다.

 

   ○ 암행어사 황협 인물연구 및 자료검토 : 연구의 기초작업으로서 암행어사 황협에 대한 상세한 검토 및 『수행기사』 자료의 내용 파악
   ○ 순조대 암행어사 운영 사례 분석 : 연대기 자료를 중심으로 하여 순조대 암행어사 운영 실상 및 지방지배정책의 특징 파악
   ○ 사회문제와 지방통치의 실상 해명 : 『수행기사』에 실린 지방관에 대한 어사의 평가, 지방사회의 폐단의 내용 등을 검토하여 충청도 지역 사회상 해명

연구결과물 세부 목차
연구결과

   본 연구결과 도출된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정조대 이후 지속적으로 파견된 암행어사는 19세기에도 이어졌다. 즉 순조대에는 재위 35년간 총 56회의 암행어사가 파견되었으며, 특히 삼남 지역은 대체로 5년 전후로 어사 파견이 비교적 정례화하였다. 그리고 어사가 집중적으로 파견된 시기에는 순조의 왕권 강화를 위한 정국 구상과도 일정한 관련을 갖고 있었다.

   둘째, 1833년에는 모두 4명의 암행어사가 지방에 파견되었으며, 공충도의 경우 좌도와 우도 두 곳에 파견되었다. 공충우도에 파견된 암행어사 황협은 약 5개월간에 걸친 염탐 자료를 서계 · 별단의 형태로 조정에 보고하였는데, 이 황협의 어사 수행 관련 자료는 장서각 · 국립중앙박물관 소장 『繡行紀事』, 그리고 연대기인 『日省錄』을 통해 대강을 확인할 수 있다.

   셋째, 황협이 제출한 서계 · 별단을 통해 당시 공충우도 지역 수령통치의 실상, 읍폐 · 민막의 내용을 확인할 수 있었다. 19세기 전반 다른 지역에서와 마찬가지로 지방관의 貪虐과 不治, 삼정을 비롯한 각종 부세의 문란, 山訟 관련 소송의 증가와 馬政의 疏漏 등이 야기되었고, 이밖에 연해 지역의 특수한 지역 사정으로 인한 民弊도 일부 확인되었다.

   넷째, 황협의 서계 · 별단에 대한 정부의 대응책을 분석한 결과 몇 가지 문제점이 드러났다. 상당수 지방관을 징계했음에도 징계를 받은 관리들의 관직으로의 복귀가 손쉬웠기 때문에 처벌 효과가 적었다. 또한 민폐, 읍막의 경우 그 폐단의 근원, 사회모순에 대한 근본적인 문제에 대한 개혁이나 제도적 장치 마련에는 상대적으로 인색하였고, 지방관의 善治를 신칙하거나 부분적인 제도 개선에 머물렀던 것은 한계로 지적된다.

 

 

○ 기대효과 및 활용방안
   본 연구는 장서각에 소장되어 있으면서도 그동안 주목받지 못했던 암행어사 자료의 분석을 기초로 조선후기 충청도 지방 수령통치와 사회변동의 실상을 해명하였다. 이에 따라 조선후기 사회경제 변동에 따라 직면한 지역사회의 구체적인 문제들에 대한 이해의 폭을 넓힐 수 있었다는 점에서 본 연구의 의의를 둘 수 있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 결과의 기대효과와 활용방안을 정리하면 크게 다음과 같다.

 

   ▨ 장서각 소장 암행어사 자료의 발굴을 통한 암행어사 연구 제고
   ▨ 조선후기 충청도 지역 사회동태에 대한 구체적 해명
   ▨ 미시사 연구에 부응하여 지역사회 문제에 대한 심층적 해명의 단서 제공
   ▨ 지방화 시대 지역사 및 향촌사회사 연구의 유용한 방법론 모색에 기여

참고문헌

기타

기타: 내용으로 구성
내용
TOP
전체메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