결과보고 요약문

결과보고 요약문: 과제구분, 과제코드, 연구과제명, 연구책임자, 공동연구자, 연구기간, 연구형태, 연구목적 및 배경, 연구방법 및 내용, 연구결과물 세부 목차, 연구결과, 참고문헌, 로 구성
과제구분 한국학 기초연구/단독논문게재형과제
과제코드 2007-25
연구과제명
  • 국문 : 개천절, 홍익인간, 단기년호 - 현대 한국에서의 단군민족주의의 제도화에 관한 연구
  • 영문 : Gaecheonjeol, Hongikingan, Dangi - A Study on the Institutionalization of Dangun-nationalism in Modern Korea
연구책임자 정영훈
공동연구자
  • - / - / -
연구기간 2007-05-31 ~ 2007-11-30 연구형태 자체단독연구
연구목적 및 배경

   이 논문은 국경일 개천절과 홍익인간 교육이념 및 단기년호의 유래를 살피고, 이들이 대한민국의 국가적 제도의례 속에 편입되는 과정을 단군민족주의의 제도화라는 측면에서 논의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 제도의례들은 아직도 국가공동체의 통합기제의 한 축으로서 작동되고 있지만, 이들이 제도 속에 자리잡은 과정과 의의 등에 대한 체계적인 연구는 부실한 실정이다. 특히 이들을 한국사속의 단군민족주의와 관련하에 논의한 연구는 없었던 것 같다. 연구에서는 한국사속에서 단군민족주의가 전개되어온 과정과 그가 민족사속에 기여한 바에 대해 먼저 살펴보고, 개천절과 홍익인간, 단기년호가 제도속에 자리잡기까지의 과정을 역사적 유래에 대한 검토에 토대하여 논의하며, 이들이 정부수립 후 제도화된 배경과 최근의 동향에 대해 살피는 순서로 논의를 전개하고자 한다.

   대한민국의 5대 국경일의 하나인 개천절과 교육이념인 홍익인간 및 (5.16전까지 정부의 공식년호였던) 단기 년호는 '단군민족주의'라 불리는 사상-의식-운동의 연장선 상에서 성립한 것이었던 바, 이 연구에서는 이들 단군민족주의적 상징기제들이 한국사 속에서 가지는 유래와 그가 국가의 제도의례속에 편입되는 과정 및 배경, 그리고 제도화 이후 오늘날까지 이들 상징기제와 주변환경들이 변해온 과정과 그가 가지는 의의 등에 대해 살피는 데 목적이 있음.

연구방법 및 내용

○ 연구방법

   문헌연구를 위주로 함

 

○ 연구내용

   1. 머리말
   2. 한국사 속에서의 단군민족주의
   3. 개천절의 유래와 제도화과정
   4. 홍익인간이념의 유래와 제도화과정
   5. 단기년호의 유래와 제도화과정
   6. 제도화의 배경과 그 이후
   7. 맺음말

연구결과물 세부 목차
연구결과

200자 원고지 기준 220매

참고문헌

기타

기타: 내용으로 구성
내용
TOP
전체메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