결과보고 요약문

결과보고 요약문: 과제구분, 과제코드, 연구과제명, 연구책임자, 공동연구자, 연구기간, 연구형태, 연구목적 및 배경, 연구방법 및 내용, 연구결과물 세부 목차, 연구결과, 참고문헌, 로 구성
과제구분 한국학 기초연구/단독논문게재형과제
과제코드 2007-19
연구과제명
  • 국문 : 한국학의 발달과 그 발전방안에 관한 연구
  • 영문 : Historical Approach on the Development of the Korean Studies and Proposal of that Policy.
연구책임자 정구복
공동연구자
  • - / - / -
연구기간 2007-05-09 ~ 2008-05-31 연구형태 개인연구
연구목적 및 배경

   한국학, 한국의 과거와 현재, 미래를 대상으로 하는 학문의 총칭이다. 이는 학문의 전공분야가 아니라 총체적인 분야이다. 한국학의 현재적 성격을 파악하기 위해서는 한국학이 어떻게 발전하여 왔는가에 대한 역사적 성찰이 필요하다. 이는 학문의 내적 성격과 현재의 문제점을 파악함에 필요하기 때문이다. 그리고 현재 한국학이 풀어야 할 과제를 지적하고 이에 대한 방안의 제시함까지를 본고는 다루고자 한다. 그러자니 한국학의 개념과 성격에 대하여도 개략적이나마 살펴보았다.

   이는 한국학중앙연구원에 재직하고 있는 학자로서 본원의 문제점을 찾으려고 노력한 연구의 총론이라고도 할 수 있다.

   한국정신문화연구원은 한국문화를 연구하기 위하여 세워진 기관이다. 2005년도에 한국학중앙연구원으로 명칭 변경을 가져왔다. 명칭변경이 형식적인 변경이 아니고 실질적으로 변화를 가져오려면 이런 명칭에 대한 연구와 앞으로의 기능 연구방향, 문제점 등을 정리할 필요가 있어 본 과제를 택했다.

연구방법 및 내용

   한국학의 다른 명칭, 한국학의 대상범위, 그 학문분야, 그리고 최초의 국가건설 이후 현재까지의 한국학의 역사적 발전단계와 그 성격을 파악하고 현재의 한국학이 가지고 있는 과제를 이론적 측면, 자료적 측면, 내용적 측면, 연구성과의 활용적 측면에서 고찰하였다. 연구방법은 연역적, 추리적 방법을 사용하였다.

연구결과물 세부 목차
연구결과

   본 연구결과는 지난 근대 이전의 2000년간은 중국학의 깊은 관계 하에서 한국학이 기록학으로서 정리, 연구되어 왔다. 근대 이후 100년간은 서양학문의 영향 하에서 실증적, 논리적 학문으로서 연구되어 왔다. 근대의 중요한 50여 년간은 일제의 강점으로 한국학 연구가 억제되고 제한을 받았다. 따라서 현재의 한국학은 전통시대의 학문과 근현대의 학문이 두절되는 결과를 가져왔고, 척추가 약한 학문이 되었다. 한국학은 언제나 한국의 역사를 창조함에 큰 기여를 하지 못하였다. 항상 외국의 학문을 존중하고 이를 뒤쫓는 방향으로 연구되어왔기 때문이다. 중국을 표준으로 하고 서양을 표준으로 하는 문화추세를 바로 잡는 제3의 길을 한국학은 찾아야 한다. 그러기 위해서는 중국학과 서양학에 대한 깊고 폭넓은 이해의 바탕 위에서 한국학을 하여야 한다.

   한국학이 한국의 역사만이 아니라 세계사의 창조의 기본이 되려면 과거와 현재만을 다루는 학문에서 미래를 조망하여 국가의 문제와 세계의 문제를 다루는 방향으로 큰 전환을 하여야 한다. 그러기 위해서는 한국학 연구를 최선진화하고 세계적 보편성을 띈 학문으로 발전시켜야 한다. 그러나 한국학의 현 주소는 그런 단계에 이르지 못하였기 때문에 기초적인 연구와 이론적 연구를 병행하여야 한다.

   우리나라는 오랜 국가와 문화의 역사를 가지고 있다. 그러나 국가의 개념이나 성격론에 대한 창의적인 이론이 나오고 있지 않으며 일반 국민의 의식은 연구자의 연구 성과를 따라오지 못하고 있다. 특히 한국은 경제수준과 문화수준에 있어서 커다란 간극을 가져오고 있다. 이를 어떻게 극복할 것인가도 한국학을 다루는 본원의 중요한 과제라고 생각한다. 한국은 종교적으로 모든 세계의 종교를 다 수용하고 있다. 이는 한국의 장점일 수 있고, 이는 대단히 중요한 역사와 문화의 유산이다. 이를 한국이라는 구체적 대상을 통하여서 인류의 문화를 연구하고 서술하는 연구가 나와야하고 이는 사회적 확산으로 파급되어야 한다.

참고문헌

기타

기타: 내용으로 구성
내용
TOP
전체메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