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목적 및 배경 |
이 연구는 이러한 문제의식에서 기존의 윤리학 텍스트와 체계를 달리하는 윤리학의 지식체계를 재구성하고, 윤리학이 왜 논쟁과 불일치로 일관하는 불확실한(?) 지식으로 인식되었는가 하는 점을 논구하려고 한다. 윤리학의 논쟁은 크게 실재론/비실재론, 주지주의/주정주의, 본질주의/약점주의, 직관주의/자연주의, 윤리절대론/상대론 등의 범주로 구분될 수 있다. 전자에 속하는 개념군은 동일 범주에, 또 후자에 속하는 개념군은 동일 범주에 속하는 성격을 지니고 있지만 반드시 일치하는 것은 아니다. 메타윤리와 규범윤리의 범주는 각기 다른 성격의 주제들이므로 동일 선상에 묶기 어렵기 때문이다. 그러나 기본적으로 이 연구는 이러한 분류 기준을 중심으로 윤리학의 주제와 논점, 그리고 난점을 다룰 것이다.
|
연구방법 및 내용 |
서장, 지식체계로서의 윤리학
1, 윤리학의 성격
- 윤리와 도덕
- 도덕을 바라보는 두 관점
- 도덕철학으로서의 윤리학
2, 윤리학의 유형과 구성체계
- 기술윤리학, 규범윤리학, 메타윤리학
- 도덕인식론, 행위론, 정당화론
3, 도덕적 지식과 도덕적 삶
- 도덕지식의 형식과 내용
- 도덕적 삶의 길잡이로서 윤리학
- 앎과 삶은 일치하는가?
제1부, 도덕지식론(1): 선과 악
1장, 선의 개념
- 선(善 ), 좋음, 좋은 것
- 내재적 선, 외재적 선
- 일반적 선, 도덕적 선
- 논의의 쟁점과 난점
2장, 선의 본질론
- 속성인가/태도인가
- 실재론/관심론
- 자연주의/인습주의(선악구분은 자연적인가 인위적인가)
- 가치는 속성(질)인가 관심인가(가치 실재론 대 가치 관심론)
- 쟁점과 난점
3장, 선은 어떻게 알 수 있는가: 메타윤리이론들
- 선악판단은 이성인가 의지(욕구)인가(주지주의 대 주의주의)
- 자연주의 윤리
- 직관주의 윤리
- 비 인식주의 윤리
- 논쟁 및 난점
4장, 최고선의 탐구: 규범윤리 이론들
- 쾌락주의 윤리: 최고의 선으로서 쾌락
- 자아실현의 윤리
- 최고의 선으로서의 행복
- 필자의 논점
5장, 최고선으로서 행복
- 객관주의 대 주관주의
- 이상주의 대 현실주의
- 본질주의 대 약정주의
- 개인적 행복과 사회적 행복은 일치하는가?
제II부, 도덕지식론(2): 옮고 그름, 당위와 의무
6장, 도덕적 옮음의 의미
- 주관적 옳음/객관적 옳음, 엄격한 옳음/차원 높은 옳음
- 선과 도덕적 옳음의 관계(도덕적 옳음에서 동기와 결과의 문제(로스, 힐))
- 도덕적 옳음과 당위/의무/책임
- 필자의 논점
7장, 도덕적 옳음의 판단원리
- 경험이냐 직관이냐(자연주의/직관주의)
- 목적이냐 법칙이냐(목적론과 법칙론 혹은 의무론)
- 주관적 옳음이냐 객관적 옳음이냐
- 양심적이면 도덕적인가
- 도덕판단도 다수결의 원리인가?
- 논점 요약
8장, 도덕적 옳고 그름은 절대적이냐 상대적이냐
- 문화적 상대주의와 윤리적 상대주의
- 윤리주관주의와 윤리적 상대성(흄, 슘너, 웨스트마크)
- 절대주의 윤리론(소크라테스, 칸트)
- 윤리절대론 대 상대론의 현대적 의미
제III부, 도덕행위론: 도덕적일 수 있는가
9장, 도덕행위의 동인은 이성인가 정념인가
- 주지주의(이성주의) 윤리의 전통
- 주의주의 윤리의 전통
- 칸트/흄
- 논쟁의 초점
10장, 도덕지식은 실천(행위)의 선결조건인가
- 도덕적 앎의 두 측면(앎의 내용과 형식)
- 소크라테스의 지행합일론
- 유가윤리의 도덕 실천론
- 요약 및 결론
11장, 인간은 도덕적으로 자유로운 존재인가 : 자유론 대 결정론
제4부, 도덕정당화론: 왜 도덕적이어야 하는가?
12장, 궁극적 물음으로서 이 질문의 의미
13장, 왜 우리는 도덕적이어야 하는가(공동이익설)
14장, 왜 나는 도덕적이어야 하는가
- 그리스도 윤리의 답변
- 플라톤의 답변
- 칸트
- 유가윤리의 답변(인간존재의 근본 이법으로서 윤리)
15장, 우리는 어떻게 살아야 할 것인가
- 자기를 버리는 일이 가능한가?
- 도덕 중립적인 삶이면 도덕적인가
- 도덕적 이상주의와 도덕적 현실주의
16장, 결론: 과학기술시대의 윤리 – 과학기술의 힘과 도덕의 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