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제구분 | 한국학 기초연구/모노그래프과제 | ||
---|---|---|---|
과제코드 | 2007-15 | ||
연구과제명 |
|
||
연구책임자 | 박병련 | ||
공동연구자 |
|
||
연구기간 | 2007-04-25 ~ 2008-10-30 | 연구형태 | 단독저술 |
연구목적 및 배경 | 현재 전통시대 우리나라의 정치 및 행정제도와 그러한 제도를 형성하게 한 정치, 사회, 경제적 배경과 그러한 제도를 정당화시킨 사상에 대한 체계적 이해를 도울 수 있는 저술은 극히 드물다. 더구나 이 분야를 전공하는 학자는 물론, 현실의 정치와 행정을 담당하는 정치가 및 국가경영자, 공무원들이 우리의 역사로부터 얻을 수 있는 자기성찰의 준거가 될 만한 저술도 거의 없다. 본 연구는 우리 고유의 관계와 그것이 형성된 배경과 과정을 탐구하고, 중국적 관료제 모델을 도입했을 때도 기왕의 관계와 어떻게 융합 · 절충 · 변화해 갔던가를 정밀하게 추적하여 학문적 관심을 충족시킴은 물론, 현대의 국가경영과 행정발전에도 참고가 될 체계적인 저술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
||
연구방법 및 내용 | 첫째, 선행연구들에 관한 검토의 결과를 참고로, 한국행정사 발전의 시기구분을 중국적 관제와 긴밀한 교섭이 없이 독자적인 자연환경 및 인문환경을 기초로 형성되었던 관제의 형태와 그러한 관제를 구성하게 된 사상과 사회경제적 조건 등을 다양한 사료들을 기초로 체계적으로 정리할 것이다. 즉, 관료의 특징, 관료체제의 구성, 관제의 운용, 재정적 기초 등 다양한 측면에서 접근해 갈 것이다. |
||
연구결과물 세부 목차 | |||
연구결과 | 한국 행정사에 관한 기왕의 연구를 종합할 뿐 아니라 새로운 視座에 따른 새로운 사료들의 체계적 배열과 해석을 통해 한국행정의 역사에 관한 종합적 조망을 가능하게 하여, 한국행정학의 발전에 근본적인 기여를 할 수 있는 것은 물론, ‘무엇’을 어떻게 연구해야 할 것인가에 대해 포괄적인 조망을 가능하게 하여, 한국행정사에 관한 세부적인 이슈에 관한 보다 발전된 연구를 견인해 낼 수 있을 것이다. |
||
참고문헌 |
내용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