결과보고 요약문

결과보고 요약문: 과제구분, 과제코드, 연구과제명, 연구책임자, 공동연구자, 연구기간, 연구형태, 연구목적 및 배경, 연구방법 및 내용, 연구결과물 세부 목차, 연구결과, 참고문헌, 로 구성
과제구분 한국학 기초연구/모노그래프과제
과제코드 2007-15
연구과제명
  • 국문 : 한국행정의 역사와 사상에 관한 연구
  • 영문 : -
연구책임자 박병련
공동연구자
  • - / - / -
연구기간 2007-04-25 ~ 2008-10-30 연구형태 단독저술
연구목적 및 배경

   현재 전통시대 우리나라의 정치 및 행정제도와 그러한 제도를 형성하게 한 정치, 사회, 경제적 배경과 그러한 제도를 정당화시킨 사상에 대한 체계적 이해를 도울 수 있는 저술은 극히 드물다. 더구나 이 분야를 전공하는 학자는 물론, 현실의 정치와 행정을 담당하는 정치가 및 국가경영자, 공무원들이 우리의 역사로부터 얻을 수 있는 자기성찰의 준거가 될 만한 저술도 거의 없다. 본 연구는 우리 고유의 관계와 그것이 형성된 배경과 과정을 탐구하고, 중국적 관료제 모델을 도입했을 때도 기왕의 관계와 어떻게 융합 · 절충 · 변화해 갔던가를 정밀하게 추적하여 학문적 관심을 충족시킴은 물론, 현대의 국가경영과 행정발전에도 참고가 될 체계적인 저술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연구방법 및 내용

   첫째, 선행연구들에 관한 검토의 결과를 참고로, 한국행정사 발전의 시기구분을 중국적 관제와 긴밀한 교섭이 없이 독자적인 자연환경 및 인문환경을 기초로 형성되었던 관제의 형태와 그러한 관제를 구성하게 된 사상과 사회경제적 조건 등을 다양한 사료들을 기초로 체계적으로 정리할 것이다. , 관료의 특징, 관료체제의 구성, 관제의 운용, 재정적 기초 등 다양한 측면에서 접근해 갈 것이다.
   둘째, 유교사상에 기초한 중국관제의 정립과 이러한 중국관제(특히 唐制)의 도입 및 과거제의 본격적 수용을 전후한 변동을 집중적으로 조명해 볼 것이다. , ‘민족 고유의 준거틀에 의한 관제와 행정운용이 중국적 관제와 관제운용의 수용을 계기로 어떻게 변용되고 전화해 나가는가에 대한 정밀한 추적을 시도해 볼 것이다.
   셋째, 유교적 패러다임에 근거한 행정, 즉 성리학의 본격적 수용과 더불어 일어나는 관료의 성격변화와 이에 따른 관제의 재조정과 운용의 특징들을 점검할 것이다. 그리고 이에 따른 과거제 실시의 구체적 변화과정도 제도적 측면에서뿐 아니라 내용적 측면에서 다각도로 조명해 볼 것이다.
   넷째, 탈유교적 패러다임에 따른 근대행정이 도입되는 시기의 다양한 사상과 제도의 창출을 살펴보고, 타자에 의한 근대적 행정의 내용에 대해서도 일반적인 검토를 해 보는 것으로 본 연구를 마무리 짓고자 한다.

연구결과물 세부 목차
연구결과

   한국 행정사에 관한 기왕의 연구를 종합할 뿐 아니라 새로운 視座에 따른 새로운 사료들의 체계적 배열과 해석을 통해 한국행정의 역사에 관한 종합적 조망을 가능하게 하여, 한국행정학의 발전에 근본적인 기여를 할 수 있는 것은 물론, ‘무엇을 어떻게 연구해야 할 것인가에 대해 포괄적인 조망을 가능하게 하여, 한국행정사에 관한 세부적인 이슈에 관한 보다 발전된 연구를 견인해 낼 수 있을 것이다.

참고문헌

기타

기타: 내용으로 구성
내용
TOP
전체메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