결과보고 요약문

결과보고 요약문: 과제구분, 과제코드, 연구과제명, 연구책임자, 공동연구자, 연구기간, 연구형태, 연구목적 및 배경, 연구방법 및 내용, 연구결과물 세부 목차, 연구결과, 참고문헌, 로 구성
과제구분 한국학 기초연구/공동연구과제
과제코드 2007-12
연구과제명
  • 국문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인물’ 항목의 개발과 서술방안 연구
  • 영문 : A Study on Development and Description Method of Biographical Items of the Encyclopedia of Korean Culture
연구책임자 이서행
공동연구자
  • 이서행 / 한국학중앙연구원 / 교수
  • 박병련 / 한국학중앙연구원 / 교수
  • 이재범 / 경기대학교 / 교수
  • 김창겸 / 한국학중앙연구원 / 선임연구원
  • 강병수 / 한국학중앙연구원 / 책임연구원
  • 양창진 / 한국학중앙연구원 / 전문위원
연구기간 2007-04-01 ~ 2007-11-30 연구형태 공동연구
연구목적 및 배경

   오늘날 한국문화에 대한 관심은 국내는 물론 외국에서조차 대단하다. 이러한 시대적인 상황에서 특히 한국문화의 종합적이고 체계적인 정리를 통해 국제화와 세계화가 필요한데, 그 방법 중에서 가장 효과적인 것이 바로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의 편찬이라 할 수 있다. 일찍이 우리 연구원에서는 1991년에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초판본을, 2001년에는 이것의 제1차 개정증보판을 간행하였던 바 있다. 그리고 다가오는 2011년에는 제2차 증보개정판을 출간하면서, 이것을 세계적인 사전으로 보전하고자 연구하고 있다. 그 구체적인 방법의 하나로써 사전에 수록할 인물항목의 개발과 그 서술형태를 오늘날의 시대적 변화에 부응하고 그동안 학문적 연구 성과의 축적을 포함하는 적합한 방안을 모색하고자 한다.

 

   아직까지 국내에서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의 항목 개발과 그 서술 방안과 관련한 전문적인 학술 연구는 전무하다. 다만 일찍이 초판본이 간행된 직후에 사전 전체를 개관적으로 분석한 서평형태의 글은 몇 편 발표된 적이 있다.

   그리고 각 시대별 인물에 대한 연구도 특정분야와 특정문헌을 중심으로 부분적으로 이루어지거나, 대부분이 특정 개별인물에 대하여 심도 있는 분석은 있었으나, 한국역사와 한국문화의 전반적인 바탕 위에서는 이루어지지 않았다.

   그럼에도 다양한 형태의 인명(인물)사전이 전통시대부터 지속적으로 편찬되었기에 본 연구에 좋은 문헌자료로 활용할 수 있다.

 

   위의 6개 세부 연구과제는 모두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제2차 증보개정판의 편찬을 위한 연구사업의 일환으로 수행되는 것이다. 이러한 까닭에 편찬사업의 실무자와 이에 참여하였던 경험이 풍부한 연구원 내의 교수 및 전문연구자가 연구팀을 구성하였다.

   그러므로 편찬 실무 과정에서 이미 경험한 문제점과 앞으로 예상되는 사항을 미리 예측하고 해결하기 위해, 각 연구자가 기존의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의 인물 항목과 그 원고를 분석한 데이터를 공유하여 정기적인 연구토론회를 통해 소기의 연구 목적을 달성하도록 노력한다.

   아울러 이 분야의 전문가로부터 자문과 협의를 거쳐 연구를 진행할 것이다. 그리하여 생성된 연구결과를 가지고 공개토론회를 개최하여 집단 토론을 거쳐 최종 연구 성과물의 완성도를 심화시킬 것이다.

연구방법 및 내용

1. 세부연구 과제 구성 체계

 

   ■ 공동주제: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인물항목의 개발과 서술방안 연구
      / 연구책임자: 이서행
   ▨ 세부주제 1: 중국에서 활동한 고대 한국인물 연구
      / 공동연구자: 김창겸
   ▨ 세부주제 2: 최근 발견된 고려 금석문에 보이는 인물 연구
      / 공동연구자: 이재범
   ▨ 세부주제 3: 朝鮮時代 유학자 인물 항목 서술 모델 정립을 위한 사례 연구 ㅡ남명학파 인물을 중심으로ㅡ
      / 공동연구자: 박병련
   ▨ 세부주제 4: 朝鮮 後期 인물 항목 개발을 위한 문집 수록 인물기사 분석 ㅡ성호전서· 순암문집인물기사의 사례를 중심으로ㅡ
      / 공동연구자: 강병수
   ▨ 세부주제 5: 납북 · 월북 인사의 항목선정과 그 서술문제
      / 공동연구자: 이서행
   ▨ 세부주제 6: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미수록 인물정보에 대한 종합적 고찰 및 활용방안 연구
      / 공동연구자: 양창진

 

 

2. 세부과제별 연구목적, 선행연구, 내용 및 방법

 

   [ 세부주제 1: 중국에서 활동한 고대 한국인물 연구 ]
   여러 문헌자료와 금석문자료 등에서 고대 한국인으로서 중국으로 이주한 인물들을 검색하여 그들의 출신 성분과 유형을 살펴보겠다. 그리고 이들이 중국에서의 활동과 역사문화적 의의를 인구이동과 문화전파의 관점에서 살펴보겠다.
   그 결과 이들이 고대 우리민족사에서 갖는 의미를 부여하여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의 수록 인물항목으로서 타당성을 갖는 것이라면 어떤 항목선정원칙을 마련하여야 하는지를 제시하겠다. 또 나아가 이들에 대한 원고서술지침은 마련하겠다. 그리하여 이들 인물들을 통해 고대 우리민족의 정체성을 확립하는 데 기여할 것이다.

 

   [ 세부주제 2: 최근 발견된 고려 금석문에 보이는 인물 연구 ]
   연구내용은 1990년대 이후에 발견된 고려시대 작성된 금석문을 정리하여, 여기에 나타난 표제상의 인물은 물론 내용상의 인물들까지 발췌한다. 그리고 그 인물들의 관직, 활동 등 인적 사항을 확인하여 고려사에서의 역할과 의미를 찾고자 한다.
   그리하여 이 인물들의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수록 항목으로서의 타당성을 검토하고, 수록할 인물을 어떠한 형식으로 서술할 것인지를 연구하겠다.

 

   [ 세부주제 3: 朝鮮時代 유학자 인물항목 서술모델 정립을 위한 사례 연구 ㅡ남명학파 인물을 중심으로ㅡ ]
   - 남명학파의 한국 문화적 특성 구명
   - 남명학파의 사상과 유학적 삶에 대한 사례 분석
   - 유학자들에 대한 항목개발 가능성
   - 조선 전기 유학자들의 서술 범주와 그 내용 구성 방안
   - 유학자로서 남명학파 인물의 특수한 서술 시안

 

   [ 세부주제 4: 朝鮮後期 인물 항목 개발을 위한 문집 수록 인물기사 분석 ㅡ성호전서· 순암문집인물기사의 사례를 중심으로ㅡ ]
   - 성호전서순암문집편찬과 인물 정보의 의의
   - 두 문집에 실린 인물기록 형태와 사례 분석
   - 문집에 실린 인물에 관한 기록 내용의 해석
   - 기록된 인물들의 항목 개발 가능성
   - 유학자 유형 인물들의 원고 서술 지침 마련

 

   [ 세부주제 5: 납북 · 월북 인사의 항목선정과 그 서술문제 ]
   1945년 광복이후 남한에서 북한으로 납북 또는 월북한 인사들을 조사하고, 이들이 북한 정권에서의 활동과 생애를 분석하겠다. 그리하여 이들에 대한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수록 항목으로서의 타당성을 검토하고, 수록할 인물을 어떠한 형식으로 서술할 것인지를 연구하겠다.

 

   [ 세부주제 6: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미수록 인물정보에 대한 종합적 고찰 및 활용방안 연구 ]
   이 연구는 다음의 두 가지 방향에서 추진하고자 한다.
   첫째,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수록 인물 중 전통시대 인물의 종합 정리 방안을 연구한다. 이를 위해 전통시대의 인물정보를 파악할 수 있는 인물 관련 문헌자료의 성격을 파악한다.
      ① 국조방목, 정사책 등의 자료현황을 조사하고, 수록 인물정보를 활용하여 지배층 복원 방법 모색한다.
      ② 각종 읍지, 한국향토문화전자대전 등을 활용하여 지역인물 복원 방법 모색한다.
   둘째, 기존 주요 인물정보 시스템의 현황을 파악하고 보완점을 연구한다.
      ①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한국학지식, 한국역대인물 종합정보 시스템의 현황과 주요 서비스 내용을 파악한다.
      ② 하나의 온라인 정보를 바탕으로, 사전 편찬을 위한 정보, 온라인 서비스를 위한 정보로 활용하기 위한 정보구축 형식 연구한다.
      ③ 정보시스템간 정보의 공동 활용을 위한 자료 구축 형식 연구한다.

연구결과물 세부 목차

중국에서 활동한 고대 한국인물 연구
최근 발견된 고려 금석문에 보이는 인물 연구
朝鮮時代 유학자 인물 항목 서술 모델 정립을 위한 사례 연구 ㅡ남명학파 인물을 중심으로ㅡ
朝鮮 後期 인물 항목 개발을 위한 문집 수록 인물기사 분석
    ㅡ성호전서· 순암문집인물기사의 사례를 중심으로ㅡ
납북 · 월북 인사의 항목선정과 그 서술문제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미수록 인물정보에 대한 종합적 고찰 및 활용방안 연구

연구결과

   ○ 가장 풍부하고 학술적으로 정확한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인물정보를 구축 제공함으로써, 전문연구자는 물론 일반 국민에게 교육자료로 활용하게 한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인물정보를 여타 국내외 인물정보 시스템에 연계 활용함으로써 국가적인 예산의 낭비를 막고, 다양한 분야별 인물사전 편찬의 기본 자료와 재생산의 기초 자료를 제공한다.

   ○ 한국학중앙연구원이 한국 역대인물정보를 집대성하고 정보 편찬 방식을 표준화함으로써 인물정보 관리 공인 기관으로 자리매김할 수 있다.

참고문헌

기타

기타: 내용으로 구성
내용
TOP
전체메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