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제구분 | 한국학 기초연구/공동연구과제 | ||
---|---|---|---|
과제코드 | 2007-11 | ||
연구과제명 |
|
||
연구책임자 | 김현 | ||
공동연구자 |
|
||
연구기간 | 2007-02-01 ~ 2007-11-30 | 연구형태 | 공동연구 |
연구목적 및 배경 | 世界化와 연속선상에서 이해되는 地方化는 지역과 지역문화에 새로운 의미를 부여하였다. 과거에는 고립되어 아무도 인식하지 못했던 지역문화가 인터넷을 비롯한 통신망의 발달로 인해 실시간에 세계 전역에 알려져서 세계적인 것으로 거듭날 수 있게 된 것이다. 이에 따라 지역문화에 대한 연구의 필요성이 학계는 물론 일반사회에서도 강하게 제기되고 있다. 그 주된 이유는 지역문화 연구를 통해 지역의 정체성을 찾아내고 이를 토대로 지역의 미래상과 지역발전의 방향을 제시할 수 있기 때문이다. 21세기를 ‘文化의 世記’라 부르듯이, 이제 문화는 종속요인이 아니라 사회와 경제발전의 필요조건이자 원동력이라는 인식이 확산되고 있다. |
||
연구방법 및 내용 | 1) 세부 연구 과제의 구성 체계 본 연구 사업은 지역문화 연구자들이 향토문화를 디지털콘텐츠로 개발하는 과정을 학습하는 데 필요한 내용으로 그 과제를 구성하였다. 따라서 콘텐츠 개발 순서에 따라 디지털콘텐츠 편찬을 위한 각종 문헌자료의 조사 및 수집방법, 현장 조사 방법론, 디지털 향토문화 콘텐츠의 내용구성, 구체적인 디지털 콘텐츠 개발 방안, 서비스시스템 구성 방안 등으로 세부 연구 과제를 체계화하였다.
■ 총괄과제: 향토문화전자대전 편찬사업의 협력 수행 기반 확대를 위한 지역문화 연구자 교육 프로그램 연구 (김현)
2) 세부 연구 과제별 연구 내용 및 방법 제1과제인 “디지털 향토지 편찬을 위한 향토문화 문헌 자료 활용 방안”에서는 광범위하고 종합적인 성격을 지닌 향토문화를 디지털 향토지로 제작하기 위한 다양하고 폭 넓은 문헌자료의 수집과 분석, 그리고 이를 통한 문헌자료의 활용방법을 검토하였다. 이를 위해 향토문화의 내용을 담지하고 있는 문헌자료들이 시 · 군지를 중심으로 시대별로 어떻게 활용되어 왔는지를 검토한 후, 그 문제점을 지적하고, 『한국향토문화전자대전』 사례를 통해 디지털 향토지 편찬을 위한 향토문화 문헌자료의 현실적 활용방안을 모색하였다. 제2과제인 “향토지 편찬 사례로 본 디지털 향토문화 콘텐츠 내용 모델”에서는 과거에 편찬된 기존향토지의 구성 · 형식 · 내용을 시계열적으로 비교 · 분석하여 현대에 맞는 새로운 디지털향토지의 모델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향토지 편찬의 역사는 1910년을 기준으로 전통시대와 근현대로 나누어 살필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향토지의 발생기에서 현대에 이르는 역사적 과정과 모습을 실제의 자료 분석을 근거로 개관하면서, 최근의 바람직한 향토지 편찬의 합의에 이르는 과정을 구명하였다. 특히 해방이후 편찬된 향토지인 도지 · 시군지를 대상으로 그 체계와 내용 등을 비교함으로써 새로운 지역문화 개발의 모형을 모색하였다. 제3과제인 “디지털 마을지 콘텐츠 제작 방안”에서는 디지털 마을지 콘텐츠를 정의하고, 대상 마을 선정방법, 정보제공자의 섭외 및 인터뷰 등 현지조사방법, 원고 · 사진 · 동영상 · 그림지도 등의 콘텐츠 제작 방법을 제시하였다. 특히 연구자가 효과적으로 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작업 단계별로 해야 할 일과 필요한 기간을 설정하여 그 내용을 제시하였다. ‘디지털 마을지’는 기존의 마을지와 달리 ‘마을 전체 이야기’와 ‘토박이의 삶 이야기’로 그 구성을 나누어 독자들이 이 마을지만 읽으면 한번 가보고 싶다는 욕구를 가지도록 묘사하는 데 목적을 둔다. 그래서 모든 내용을 수집하여 정리하는 것이 아니라, 필요한 부분을 집중적으로 조사 · 연구하여 ‘심층적인 묘사’를 하는 것이 중요하다. 제4과제인 “지리자료를 활용한 향토문화 콘텐츠 개발”에서는 광범위하고 종합적인 성격을 지니고 있는 향토문화를 디지털콘텐츠로 개발하기 위한 지리자료의 활용방법을 제시하였다. 지리자료에는 전근대시대의 전국지(全國誌)와 읍지(邑誌) 등 지리지와 고지도, 근 · 현대의 지도 등 다양한 유형이 있는데, 이러한 자료들을 향토문화의 다양한 내용과 그 변화상을 문화콘텐츠 이용자들에게 효과적으로 전달하기 위한 수단으로 활용하는 방법들을 모색하였다. 이를 위해 조선시대 지리지와 각종 지도류의 자료적 특징과 그 수집 · 정리방법을 살펴보고, 이를 활용하여 과거의 지역과 경관을 복원하는 방법을 구체적인 사례를 통해 설명하였다. 마지막 과제인 “향토문화 지식정보 서비스 시스템 구현 기술”에서는 정보자료 온라인 서비스의 제 형태를 고찰하고, 콘텐츠 접근방법에 대한 이해와 함께 그 구현기술로서 XML 전자문서의 제작과 응용에 대해 검토하였다. 그리고 향토문화지의 내용적 특성에 맞는 색인어를 본문에서 자동적으로 추출하고 정제하여 신뢰할 수 있는 키워드 인덱스를 생산함으로써 향토문화지의 내용 검색 서비스 기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방법을 제시하였다. 이와 함께 전자지도, 전자연표, 시청각 갤러리 등 멀티미디어 자원을 활용한 부가 서비스 콘텐츠를 제작하고, 이를 통해 향토문화지의 내용을 효과적으로 전달할 수 있는 방안을 제안하였다. |
||
연구결과물 세부 목차 | ▶ 디지털 향토지 편찬을 위한 향토문화 문헌 자료 활용 방안 ▶ 향토지 편찬 사례로 본 디지털 향토문화 콘텐츠 내용 모델 ▶ 디지털 마을지 콘텐츠 제작 방안 ▶ 지리자료를 활용한 향토문화 콘텐츠 개발 ▶ 향토문화 지식정보 서비스시스템 구현 기술 |
||
연구결과 | 세부 연구과제별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디지털 향토지 편찬을 위한 향토문화 문헌 자료 활용 방안
(2) 향토지 편찬 사례로 본 디지털 향토문화 콘텐츠 내용 모델
(3) 디지털 마을지 콘텐츠 제작 방안
(4) 지리자료를 활용한 향토문화 콘텐츠 개발
(5) 향토문화 지식정보 서비스시스템 구현 기술 |
||
참고문헌 |
내용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