결과보고 요약문

결과보고 요약문: 과제구분, 과제코드, 연구과제명, 연구책임자, 공동연구자, 연구기간, 연구형태, 연구목적 및 배경, 연구방법 및 내용, 연구결과물 세부 목차, 연구결과, 참고문헌, 로 구성
과제구분 한국학 기초연구/모노그래프과제
과제코드 2006-(2005-22)
연구과제명
  • 국문 : 朝鮮後期 儒學敎育思想史 硏究
  • 영문 : The History of Confucian Education Thought in Chosun Dynasty
연구책임자 정순우
공동연구자
  • / /
연구기간 2005-05-02 ~ 2007-05-31 연구형태 단독저술
연구목적 및 배경

   조선 후기 유학교육은 조선 중기의 성리학적 도학주의를 극복하는 과정이었다. 조선중기 사림의 출현은 한국의 이학사(理學史)와 맥을 같이한다. 이 시기는 조선 유학사의 성격을 규정짓는 도통(道統)의 계보가 확립되는 시기였다. 특히 교육사에서는 서원의 출현과 더불어 유학적 공부론이 체계화되던 시기였다. 유자들은 일체유심(一切唯心)의 내성적 공부가 근간을 이루는 불교의 수행법을 비판하면서 그들의 공부론을 역사의 중심으로 치켜 올렸다. 그 종심에 퇴계와 율곡의 철학이 있었다. 남송 이학을 수용하는 과정에서 형성된 퇴계의 도통론은 심학적 공부론에 근거하고 있었다면, 율곡의 도통론은 성덕군자이면서 동시에 국가 경영을 실현하는 군사(君師)의 출현에 있었다는 점에서 사공학적 성격이 짙다.

   조선후기의 유학교육은 이러한 중세적 도학주의를 극복, 지양해 나아가는 과정이라고 할 수 있다. 이에 본고에서는 이러한 흐름을 주도하는 몇몇 사상적 범주를 설정하여 그들의 교육론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우선 남인과 북인계열에서 육경고학(六經古學)적 학문 경향을 드러내는 인물들의 교육관을 집중적으로 조망하여 보았다. 본고에서는 다루지 못하였지만 앞으로 미수 허목과 동명 김세렴 등의 교육론을 보완하여 이들이 과연 어떻게 성리학적 세계관으로부터 탈피하고 있는지를 살펴보고자 한다. 다음으로는 기호학파의 적통을 잇는 북학파들의 교육관과 기호 남인들의 교육관을 상호 비교함으로써 실학이 지니고 있는 '근대성'의 본질을 구명하고자 하엿다.

   마지막으로 본고에서는 한말의 시대 상황에서 당시의 유학교육이 지닌 현실적 의미는 과연 무엇이었나 하는 점을 당시의 위정척사 학파들의 교육운동을 통하여 살펴보았다. 이 문제는 전통유학이 근대 사회로 이행하면서 어떤 갈등과 모순을 드러내고, 그 접합과정에서 어떠한 변용이 나타나고 있는지를 살펴볼 수 있다는 점에서 좀 더 다양한 논의를 필요로 한다. 이에 당시 화서학파의 종장인 성재유중교(柳重敎)와 한주학파로서 공교운동(孔敎運動)을 주도하였던 한계 이승희(李承熙), 성재학파의 도통을 잇는 소눌 노상직의 교육관을 분석의 대상으로 삼았다.

 

   이 논문은 조선후기의 유학교육이 전대의 중세적 도학주의를 어떻게 극복, 지양해 나아갔는지를 밝히는 데 목적이 있다. 이에 본고에서는 이러한 흐름을 주도하는 몇몇 사상적 범주를 설정하여 그들의 교육론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우선 남인과 북인계열에서 육경고학(六經古學)적 학문 경향을 드러내는 사상가들, 다음으로는 기호학파의 적통을 잇는 북학파들의 교육관과 기호 남인들의 교육관을 상호 비교함으로써 실학이 지니고 있는 '근대성'의 본질을 구명하고자 하였다.

   마지막으로 본고에서는 한말의 위정척사 학파들의 교육운동을 통하여 전통유학이 근대사회로 이행하면서 어떤 갈등과 모순을 드러내고, 그 접합과정에서 어떠한 변용이 나타나고 있는지를 살펴보았다.

연구방법 및 내용

   먼저 퇴계학파의 분기와 학통문제를 다루고 다음으로는 남명학파 율곡학파의 분기와 사상적 특질을 구명하였다. 그리고 실학자들을 대상으로 '교육'의 맥락에서 본 성리학과 실학의 관계, 실학의 '근대성' 문제 등을 검토하였다. 담헌 홍대용, 연암 박지원, 순암 안정복의 교육관, 다산의 공부론과 '근대성' 등을 검토하였다. 마지막으로 한말 유학교육의 수구와 개혁의 두 흐름을 살펴보기 위하여 화서학파, 한주학파, 성재학파의 교육론을 검토하였다.

연구결과물 세부 목차
연구결과

200자 원고지 1,328매

참고문헌

기타

기타: 내용으로 구성
내용
TOP
전체메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