결과보고 요약문

결과보고 요약문: 과제구분, 과제코드, 연구과제명, 연구책임자, 공동연구자, 연구기간, 연구형태, 연구목적 및 배경, 연구방법 및 내용, 연구결과물 세부 목차, 연구결과, 참고문헌, 로 구성
과제구분 한국학 기초연구/모노그래프과제
과제코드 2006-(2005-19)
연구과제명
  • 국문 : 휴매니즘으로서의 실용주의
  • 영문 : Pragmatism as Humanism
연구책임자 정해창
공동연구자
  • / /
연구기간 2005-05-02 ~ 2006-11-30 연구형태 문헌연구
연구목적 및 배경

   조선의 유학자들이 도덕적 행위의 철학적 근거를 제공하기 위하여 다양한 이론들이 부딪치는 철학적 난전을 펼친 것과 유사하게 실용주의자들도 관념론자들에 맞서 인간의 도덕적 행위에 대한 철학적 정당화를 이야기 한다. 윌리엄 제임스에 의하면, 도덕적 노력은 인간이 자유의지를 가지고 있으며 세계는 최선의 세계가 아니라는 것 그리고 신은 선의 편에 있다는 믿음을 전제한다. 이와 같은 기본 전제에 대한 명시적인 언명은 없더라도 유학자들도 이런 전제에 묵시적 동의를 하고 인물성 동일론 등을 제시한다.

   전통적 의미의 도덕철학 즉 규범윤리학이 쇠퇴하고 그 자리를 윤리개념에 대한 분석이 차지하였던 20세기 마지막 사반세기에 미국에서는 미국철학에 대한 일종의 작은 르네쌍스가 일어났다. 특히 제임스의 철학에 대한 관심의 증폭과 그의 철학에서 현상학에 대한 예상을 보고 그의 도덕적 정당화에 대한 새로운 해석이 제시됨에 따라서 넓은 의미의 실용주의 철학에 대한 관심이 증대되었다. 이전에, 제임스의 철학적 통찰은 언제나 존경의 대상이었으나 또한 그의 철학이 일관성을 결여하고 있다는 가차없는 비판도 상당한 설득력을 얻었었다. 제임스는 여러 차례에 걸쳐서 새로운 철학적 출발을 하였고 그의 독자들은 매번 이것들에 새롭게 다가가야 하였다. 다시 말하면, 그의 철학의 비옥함은 일관성의 희생 위에서 이루어졌다는 것이다.

   이와 반대로 연구자는 제임스의 철학적 비젼의 통일성과 일관성을 제시하고 이를 옹호할 것이다. 그의 사유의 중심적 통찰은 휴매니즘이다. 그의 인간관은 초기에 형성되었고 그의 후기 형이상학과 인식론적 실용주의를 이해하는 데 열쇠가 된다. 그동안 한국의 철학계는 제임스는 물론이고 실용주의에 대해서도 별다른 관심을 보이지 않았다. 오늘날 실용주의적 사유가 세계적으로 재삼 강조되고 있다는 사실을 비합리적 사유가 판치고 있을 뿐 아니라 아직도 이데올로기적 사유가 고개를 들고 있는 한국의 지성계에 시사하는 바 크다고 하겠다. (2년과제)

연구방법 및 내용

   가장 인간적인 철학자, 인간의 현실에 대한 고뇌를 추상적인 사유가 아니라 경험에 의해서 추구하였던 제임스에 대한 개괄적인 소개를 시작으로 그의 독특한 철학관, 대중적으로 알려져 많은 오해를 초래한 실용주의 사상, 실용주의 진리관, 그의 형이상학적 사유인 극단적 경험주의, 그의 철학의 그치라고 할 수 있는 종교철학이 순서적으로 다루어지며, 마지막으로 그의 철학 전반에 휴매니즘이 깔려 있다는 주장을 하고 있다.

연구결과물 세부 목차

(1) 제임스는 누구인가

(2) 제임스의 철학관

(3) 실용주의

(4) 실용주의 진리

(5) 극단적 경험론

(6) 종교관

(7) 맺는 말

연구결과

   우리 학계에서 실용주의 철학에 대한 연구가 현재까지 거의 이루어지고 있지 않다. 연구자는 퍼스에 대한 연구를 이미 출간하였고(2005) 제임스에 이어서 듀이에 대한 연구를 계획하고 있다.세 사람의 대표적인 실용주의 철학자들을 개별적으로 그리고 비교하여 소개함으로써 고전 실용주의 철학 사상에 대한 우리 학계의 관심을 끌 수 있도록 하는 것이 희망이다.

참고문헌

기타

기타: 내용으로 구성
내용
TOP
전체메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