결과보고 요약문

결과보고 요약문: 과제구분, 과제코드, 연구과제명, 연구책임자, 공동연구자, 연구기간, 연구형태, 연구목적 및 배경, 연구방법 및 내용, 연구결과물 세부 목차, 연구결과, 참고문헌, 로 구성
과제구분 한국학 기초연구/단독논문게재형과제
과제코드 2006-25
연구과제명
  • 국문 : 근대한국민족주의의 정치사상 (2): 사회적민족주의의 정치사상
  • 영문 : The Political Thoughts of Korean Nationalism (2): Movement and thoughts of Social Nationalism
연구책임자 정영훈
공동연구자
  • - / - / -
연구기간 2006-04-24 ~ 2006-11-30 연구형태 자체단독
연구목적 및 배경

   이 논문은 민주적 민족주의의 정립까지를 다룬 앞선 논문에 이어 사회적 민족주의로 발전하는 과정과 이 단계의 정치사상적 특징들을 분석하기 위한 것이다. 논문에서는 특히 1920-40년대의 좌우합작-민족연합전선운동과 통일국가건설운동에 수반된 정치사상을 분석하는 데 초점을 맞추고 있다.

   사회주의가 유입되어 민족운동진영이 좌우로 분열된 시기에 전개된 통일전선운동-좌우합작운동은 한국사에서 매우 중요한 의의를 지니며, 사상적으로도 '사회적 민족주의'social nationalism라 범주화할 수 있는 차별성을 보여주는 바, 이 연구에서는 통일전선-좌우합작운동기의 민족주의 정치사상을, 누가 어떤 시대적-사상적 배경 속에서 어떤 이론을 전개하였는지, 어떤 정치적 가치를 어떤 방법으로 달성하고자 하였는지, 그같은 사상동향이 가지는 특징과 의의는 무엇인지 하는 문제를 중심으로 하여 정리하고자 하였다.

   논문에서는 이 운동의 지도이론을 염두에 두고 민족운동가들이 제기한 정치이론들과 통합운동과정에서 생산된 문건들을 분석하는 방법으로 그 특징들을 추출하고 있는데, 특히 조소앙의 삼균주의와 안재홍의 신민족주의이론을 중심으로 분석하고 있다. 이 두 이론은 좌우합작과 통일민족국가 건설을 염두에 두고 제기된 정치이론 중에서도 대표적인 것이라 할 수 있다.

   논문은 (1) 먼저 삼일운동후에 전개된 민족주의운동을 특히 좌우합작적 민족연합전선운동을 중심으로 하여 그 전개내용과 양상을 살피고, (2) 통일전선-통일국가수립 과제를 염두에 두고 제기된 정치이론들을 분석하며, (3) 그들 사상이 가지는 특징과 의의를 분석하는 순서로 논의를 진행하고 있다.

연구방법 및 내용
연구결과물 세부 목차

1. 머리말

2. 삼일운동후 민족주의운동 - 좌우합작 민족연합전선운동을 중심으로

3. 사회적 민족주의의 정치사상 - 삼균주의와 신민족주의의 경우

4. 사회적 민족주의의 사상적 특징과 의의

5. 맺음말

연구결과

   1920-40년대의 좌우합작-민족연합전선운동 과정에서 제기된 사상들은 한국정치사상사 속에서도 그 독창성의 측면이 부각되며, 그들이 전개하고 제시한 사유 방식이나 대안은 오늘날의 관점에서도 시사해주는 바 크다고 보여지는 바, 이 연구는 한국정치사상사와 정치사에 대한 연구를 보강하고 민족통합 같은 미래의 과제와 관련해서도 기여하는 바 있으리라 사료됨. 결과보고서는 유명학회지에 게재하여 학계일반에 참고자료로 제공하고자 함.

참고문헌

기타

기타: 내용으로 구성
내용
TOP
전체메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