결과보고 요약문

결과보고 요약문: 과제구분, 과제코드, 연구과제명, 연구책임자, 공동연구자, 연구기간, 연구형태, 연구목적 및 배경, 연구방법 및 내용, 연구결과물 세부 목차, 연구결과, 참고문헌, 로 구성
과제구분 한국학 기초연구/단독논문게재형과제
과제코드 2006-19
연구과제명
  • 국문 : 단어 '개(犬)'로 형성된 어구(語句)의 생성연구
  • 영문 : A Studies on the NP Drived from Word 'Kai(개)'
연구책임자 이광호
공동연구자
  • - / - / -
연구기간 2006-03-22 ~ 2006-11-30 연구형태 개인단독
연구목적 및 배경

   ▨ 단어 '개'로 형성된 어구들이 어떤 형식으로 짜여져 있으며, 그 의미가 부정적으로 실현되는 국어의 현실을 분석하여 규명함.
   ▨ '개'로 실현되는 복합명사, 명사구, 숙어, 속담 등을 조사하여 이것들이 사전에 수록될 수 있도록 그 구성, 의미를 연구하는 데 목적이 있음.

 

   한국어 단어 '개'(犬)는 대체로 나쁜 의미를 가지고 있는 어휘이다. 이 단어가 다른 단어와 결합할 때 그 복합어(또는 합성어)나 어구(語句)들 역시 나쁜 의미를 나타내게 된다. 그 일예로, 비록 비속어에 속한다고 할 수 있는 "개새끼(나쁜 사람), 개소리(이치에 맞지 않는 말), 개 발싸끼 같다(보잘것없다), 개 콧구멍으로 안다(상대할 가치도 없는 시시한 것으로 친다), 개가 웃을 일이다(말 같지도 않은 같잖은 일이다), 개죽음(헛된 죽음), 개발에 주석편자(제격에 어울리지 않게 호사스러운 것을 즐기는 꼴을 비꼬아 이르는 말)" 등등을 들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이런 현상을 복합어, 어구, 속담 등등으로 구분하여 그 자료를 정리하고, 이런 언어현상을 어휘 특이적(lexico-specific)인 면에서 그 구성을 분석 정리하여 한국어 어구 형성, 한국어 속담 등의 표제항으로 제공하고 그 의미 해석에 도움이 되고자 한다.

   이런 동물명칭을 중심으로 한 한국어의 복합어(예; 늑대 같은 놈, 여우같은 년, 마파람에 게눈 감추듯 한다, 까마귀 귀신, 까치 발톱, 등등) 연구는 아직까지 단편적인 예시는 있었으나 그 본격적인 연구가 이루어진 바가 없다. 따라서 한국어 '동물 명치 복합어 사전'(가칭)을 편찬하려 할 때 이런 연구는 반드시 있어야 할 연구로 생각된다.

연구방법 및 내용

○ 연구방법

   자료 수집, 수집 자료의 분석, 구성방법 및 그 의미 규정.

 

○ 연구내용

   1. 개의 의미
   2. '개' 관련 복합명사구 구성
   3. '개' 관련 숙어, 관용어, 속담의 구성

연구결과물 세부 목차
연구결과

   '개' 관련 명사구들이 숙어, 관용어구, 속담 등의 구성성분이 된다는 것과 그 의미가 매우 부정적(비어, 속어, 상말)임을 밝혔고 그 활용방안은 사전, 속담, 관용어 사전에 수록할 수 있을 것임.

참고문헌

기타

기타: 내용으로 구성
내용
TOP
전체메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