결과보고 요약문

결과보고 요약문: 과제구분, 과제코드, 연구과제명, 연구책임자, 공동연구자, 연구기간, 연구형태, 연구목적 및 배경, 연구방법 및 내용, 연구결과물 세부 목차, 연구결과, 참고문헌, 로 구성
과제구분 한국학 기초연구/모노그래프과제
과제코드 2006-17
연구과제명
  • 국문 : 대왕신앙의 역사와 현장
  • 영문 : The History and the Site of the Daewang Worship
연구책임자 신종원
공동연구자
  • - / - / -
연구기간 2006-03-30 ~ 2006-11-30 연구형태 단독
연구목적 및 배경

   대왕은 민속신앙에서 모시는 여러 신 가운데 하나이자 높은 신격임을 강조하는 의미로도 쓰고 있다. 대왕이 곧 신의 이름일 수 있고, 태산대왕, 산신대왕과 같이 신의 이름에 권위를 부여하는 의미로 붙여지기도 한다. 이밖에 성황신이라는 독자적인 이름을 가진 신을 대왕이라 일컫기도 하며 저승세계를 관장한다는 염라대왕도 있다.

   이처럼 우리 문화에서 대왕은 신의 고유명칭인 반면 신의 위상을 더욱 높힌다는 의미, 권위와 신격화를 위한 기재로 두루 사용되는 용어인데 이러한 것들과 연결선상에서 대왕신앙이라는 신앙현상이 정착되기도 했다.

   대왕신앙에 대하여 집념을 가지고 다양하게 접근하고 이론화, 체계화를 시도한다.

연구방법 및 내용

   이 연구에서는 역사편과 신앙편으로 나누어 사료와 현장조사자료를 통해 치밀하게 분석하고 중국과 일본의 대왕신앙을 비교하면서 결론부분에서는 앞에서 논의된 내용을 통해 대왕신앙이 과연 무엇인가를 규명하고자 했다. 우리나라뿐 아니라 인접국가의 대왕신앙도 논의함으로써 지엽적이지만 동북아의 전통문화를 볼 수 있는 지평을 여는 계기를 마련했다는 점도 강조하고 싶다.

연구결과물 세부 목차
연구결과

   염라대왕은 불교에서, 지옥으로 떨어지는 인간이 생전에 지은 죄악을 심판하고 징벌하는 대왕을 말하는데 민간에서는 저승세계의 삶을 관장하는 높은 신으로 인식하기도 한다. 이밖에도 대왕은 바다, 산천, 대왕암, 대왕바위 등과 같이 '자연물'에 붙여져 신성성이 강조되며, 왕이 대왕으로 불리기도 하는데 이는 신성성과 권위를 상징화한다는 의미를 지닌다.

참고문헌

기타

기타: 내용으로 구성
내용
TOP
전체메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