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제구분 | 한국학 기초연구/모노그래프과제 | ||
---|---|---|---|
과제코드 | 2008-16 | ||
연구과제명 |
|
||
연구책임자 | 정순우 | ||
공동연구자 |
|
||
연구기간 | 2008-04-15 ~ 2009-11-30 | 연구형태 | 단독저술 |
연구목적 및 배경 |
지금까지 조선시대 아동교재에 대한 전면적인 조사 작업은 매우 미진하다. 우선 본격적인 연구를 위한 기초 조사 작업이 요청되는 실정이다. 전국에 흩어져 있는 모든 종류의 아동 교재들을 발굴하고, 목록화하고, 유형화하고, 내용상 특질을 소개하는 작업이 우선 요청된다. 이러한 기초조사의 필요성은 이미 1980년대에 제기되었다. 정순목 교수에 의해 『韓國儒學敎育資料集解』의 제 1권으로서 「동몽교육편」이 출간되어 이 분야 기초자료에 대한 조사의 필요성이 제기되었으나, 이후 지금까지 그 후속연구가 활발하게 진척되지 않고 있다. 또한 해당분야에 대한 연구는, 유점숙 교수 등에 의해 동몽교재에 대한 교육학 차원에서의 분석 작업이 이루어졌으나 전반적인 기초조사와 분석 작업이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물론 개별 자료나 교재에 대한 소개와 분석 작업은 한문학이나 서지학 등 교육사의 인접 분야에서 꾸준히 진행되어 오고 있으나 그 특성에 대한 전체적인 조감을 하기에는 한계가 있다. 본고에서는 각 교재에 적합한 형태의 분석방법을 다양하게 적용, 시도하고자 한다. |
||
연구방법 및 내용 |
동몽교재에 대한 목록 작업은 정순목, 유점숙, 정순우, 지정향 등에 의해 이루어진 바 있으나, 좀 더 많은 보완이 필요한 부분이다. 이에 본고에서는 지금까지 학계에 소개되지 않은 자료들을 대상으로 목록화 작업을 시도하였다. 이 작업은 앞으로 전국의 주요한 도서관과 소장자들을 대상으로 완벽한 조사 작업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그 전 단계 자업으로서의 의미를 지니고 있다. 다음으로 본고에서는 교육사적으로 유의미한 자료들을 대상으로 내용 검토와 그 성격 분석을 시도하였다. 이 과정에서 기존에 이미 상당한 연구가 축적된 자료들은 대상에서 제외하였다. 『동몽선습』이나 『격몽요결』같은 교재가 여기에 해당한다. 물론 『천자문』이나 같은 『훈몽자회』같은 교재도 이미 상당한 선행연구가 있으나, 교육학에서는 다루지 않았기에 이 기회에 함께 검토해 보았다. 각 교재의 분류 방식은 다음의 체계에 따랐다.
1. 조선조 아동교재의 종류 및 성격 가. 문자학습용 교재 나. 훈석 단계의 교재 다. 소학 단계의 교재 라. 경학(經學)학습 단계의 교재 2. 한말 위정척사파의 아동 교재 3. 애국계몽기 편찬 교과서 |
||
연구결과물 세부 목차 | |||
연구결과 | 조선조에서 간행된 각각의 교재가 지닌 교육사적인 혹은 문화사적인 의미에 대하여 깊이 있는 논의를 시도하였다. 이 연구는 앞으로 관련 분야와 인접문화의 기초 연구로서 상당한 의미를 지니고 있다고 본다. 곧 책으로 출간하여 전문가 집단뿐만 아니라 일반인들에게도 조선사의 아동관과 문화 현상의 한 국면을 소개하고자 한다. |
||
참고문헌 |
내용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