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제구분 | 한국학 기초연구/공동연구과제 | ||
---|---|---|---|
과제코드 | 2006-04 | ||
연구과제명 |
|
||
연구책임자 | 허흥식 | ||
공동연구자 |
|
||
연구기간 | 2006-03-30 ~ 2006-11-30 | 연구형태 | 공동연구과제 |
연구목적 및 배경 | 475년간 지속되었던 고려국가는 한국중세의 핵심을 이루며 이 시기에 대한 대표적인 정인지 등이 편찬한 고려사이다. 역사전공에서 그동안 대사업으로 삼국사기, 삼국유사, 경국대전을 완성하였으며, 이번에는 장기적이고 앞서보다 큰 작업으로 고려사 역주연구를 대상으로 삼았다. 고려사 역주는 약 500년간 계속된 고려국가의 역사를 통괄할 뿐 아니라 고대사는 물론 근대사에도 체계적인 연구를 촉진시키는 효과가 있다.
고려사는 고려시대에 대한 대표적인 사서이므로 한국중세사의 전공자들이 끊임없이 해석과 주석을 더하였고, 각부분에 대한 역주와 주석도 다양하게 이루어졌다. 현재까지 간행된 저본과 활자본, 영인본, 해설이 있으며 전반적인 역주본도 남북한에서 3차에 걸쳐 다음과 같이 진행되었다.
東亞大學校 古典硏究室 「譯註高麗史」 동아대학교출판부,1965 (색인 1973)
이번 역주작업은 1)기왕의 연구성과 2)이후에 부분적으로 이루어진 연구성과를 반영하고, 3)기존의 연구에서 잘못되거나 부족한 부분을 보완하고, 4)아울러 문집, 금석문, 고문서, 유적과 유물을 고려사에 연결시켜 확대하고, 5)CD-ROM 등 전산화를 이용한 간행하여 국내외의 고려사 연구자에게 제공함을 목표로 삼는다. |
||
연구방법 및 내용 | 고려사의 각지는 고려 국가를 운영한 문물제도의 사상의 체계적인 자료이지만 고려사 중에서 가장 이해가 어려운 부분이므로 이에 대한 그동안의 번역으로는 만족하기 어렵고 전문가의 번역과 주석이 필요하였다. 이에 각 분야의 전문가를 하여금 1인 1지를 책임 번역 주석하도록 추진하였다. |
||
연구결과물 세부 목차 | ▶ 백관지 ▶ 병지 ▶ 지리지 ▶ 오행지 ▶ 형법지 ▶ 선거지 |
||
연구결과 | 매년 성과를 고려시대연구 2책으로 간행하였고, 분량이 적은 부분의 역주부터 완성되면 이를 각지별로 간행하도록 계획을 세웠고, 형법지와 백관지는 거의 완성단계에 이르고 있다. 한국중세사연구의 기초 자료로서 체계적이므로 이를 이용하여 다방면의 활성적인 연구를 촉진시킨다. |
||
참고문헌 |
내용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