결과보고 요약문

결과보고 요약문: 과제구분, 과제코드, 연구과제명, 연구책임자, 공동연구자, 연구기간, 연구형태, 연구목적 및 배경, 연구방법 및 내용, 연구결과물 세부 목차, 연구결과, 참고문헌, 로 구성
과제구분 한국학 기초연구/공동연구과제
과제코드 2006-02
연구과제명
  • 국문 : 『至正條格』의 종합적 연구 ㅡ표점연구 및 법제 · 역사학적 종합 검토ㅡ
  • 영문 : A Comprehensive study of the Jijeongjogyeok(至正條格), concerning on its legal and historical characteristics
연구책임자 정순우
공동연구자
  • 김호동 / 서울대학교 / 교수
  • 전경목 / 본원 / 조교수
  • 권오영 / 본원 / 조교수
  • 이개석 / 경북대학교 / 교수
  • 안승준 / 본원 / 전문위원
  • 김학수 / 본원 / 전문위원
  • 박병호 / 본원 / 초빙교수
  • 김문경 / 일본 京都大 / 교수
연구기간 2006-05-03 ~ 2007-05-31 연구형태 공동연구과제
연구목적 및 배경

   至正條格 자체에 대한 선행연구는 이개석의 초보적인 연구가 있을 뿐 거의 없다 해도 과언이 아님. 그러나 관련된 연구는 중국과 일본, 그리고 프랑스 등의 학자에 의하여 참고문헌에 제시한 바와 같이 비교적 많이 이루어지고 있음. 예컨대, 통제조격, 원전장, 원사 협법지에 대한 연구가 다양하게 이루어지고 있고, 법전에 사용된 몽고어를 직역한 투의 문체나, 백화체에 대한 연구도 함께 이루어지고 있음. 그러나 여전히 이들 법전에 대한 연구는 어려움이 많아서 해외에서 이루어진 연구는 표점을 찍는다거나, 校詿를 하는 정도에 머무르고 있다. 일본학자인 강본경이 등이 통제조격의 역주를 시도했지만 표점을 찍는 이상의 성과를 냈다고 보기 힘듦. 또 최근 방령귀 교수에 의한 비교적 完整한 대원통제 교주본이 나왔지만 역시역주의 단계로까지는 나아가지 못함.

   이 연구는 원대 말기에 편찬된 법전으로 현존하는 세계 유일본인 지정조격에 대한 기초적인 연구(표점) 및 종합적인 분석 · 연구를 동시에 수행하여 우리나라, 특히 고려말 조선 초의 법의식과 법전 편찬에 어떤 영향을 미쳤고, 또 그것이 가지는 법제적 · 역사적 의미를 가늠해 보는데 그 목적이 있음.

연구방법 및 내용

. 표점 / 교열 · 교감연구: 지정조격 단례 및 조격 원문을 표점하고 교열 교감, 주석함

. 주제별 연구: 지정조격의 핵심 내용을 학문 주제별로 연구함
   1) 박병호, 麗末鮮初 元刑事法 특히 至正條格의 영향
   2) 이개석, 至正條格編纂法制史上 意義
   3) 김호동, 至正條格編纂元末 政治勢力
   4) 김문경, 有關慶州發現元刊本 至正條格的若干問題
   5) 안승준, 至正條格所藏 保存 經緯에 대한 考察

연구결과물 세부 목차
연구결과

연구결과

   가. 표점 / 교열 · 교감연구 : 김호동 이개석 김문경 등 원대 법제 및 동양사 연구자들로 하여금 연구를 진행, 소기의 성과를 거둠(연구결과물 참조)

   나. 주제별 연구 : 지정조격 가운데 핵심 연구 분야를 연구하여 논문화 함 (연구결과물 참조)

 

기대효과 및 활용방안

   가. 세계적 문화유산인 至正條格은 그것의 발굴과 보존처리를 통한 복원만으로도 충분한 학술적, 문화적 의의가 있음. 특히 至正條格 교감/교열본의 출판과 연구는 한국 역사학을 세계학계와 교류하는 통로가 될 것임.

   나. 13-14세기 고려와 원의 관계사, 고려법제사의 이해를 심화시키는 것, 13-14세기 원대사 연구의 공백을 메우는 데 기여할 것이며, 나아가, 우리 한국학계가 이 분야 연구를 주도하고 견인함으로써 우리 학계의 연구를 세계 수준으로 이끌어 나가고, 특히 14세기 중후반의 동아시아역사연구를 한국학계가 선도해나가는 기회로 활용할 수 있음.

참고문헌

기타

기타: 내용으로 구성
내용
TOP
전체메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