결과보고 요약문

결과보고 요약문: 과제구분, 과제코드, 연구과제명, 연구책임자, 공동연구자, 연구기간, 연구형태, 연구목적 및 배경, 연구방법 및 내용, 연구결과물 세부 목차, 연구결과, 참고문헌, 로 구성
과제구분 한국학 기초연구/단독논문게재형과제
과제코드 2005-31
연구과제명
  • 국문 : 訥齋 梁誠之의 정치 행정사상에 관한 연구
  • 영문 : -
연구책임자 박병련
공동연구자
연구기간 2005-04-22 ~ 2005-11-30 연구형태 단독
연구목적 및 배경
연구방법 및 내용

 

양성지의 정치나 행정에 관한 생각은 그의 奏疏를 통하여 잘 드러나 있고, 조선전기의 독특한 사상적 분위기를 잘 반영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정치학계나 행정학계에서는 별다른 주목을 하지 못했다. 특히 사림 이데올로기가 조선의 정치계를 지배한 이후로는 그에 대한 정단한 평가가 이루어지기 어려웠다. 그의 정치행정에 관한 사상은 정도전 이래의 ‘勳舊官學’의 특징을 구명할 수 있는 중요성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소홀히 취급해 왔으므로, 본 연구에서는 그의 사상적 핵심요소를 정치, 행정학적 관심에 따라 분석해보려 함.

 
연구결과물 세부 목차

 

Ⅰ. 서론 –왜 양성지인가?-

Ⅱ. 조선 초기의 사상사적 맥락과 訥齋의 사상사적 위치

    1. 創業期 經世 實用的 사상의 특징

    2. 道德(節義)論的 정치사상의 대두와 양성지 평가의 변화

Ⅲ. 조선체제의 정치적 정당화에 관한 사상

   1. 양성지 정치·행정 사상의 기본 구조와 역사인식

   2. 정치·행정활동의 궁극적 목표는 ‘愛民’에 있다.

   3. 정치·행정적 활동의 평가기준도 ‘애민’일 뿐이다.

Ⅳ. 체제유지와 국방에 관한 사상

   1. ‘자치’와 ‘민심을 얻는 것’이 체제유지의 기본

    2. ‘足食足兵’을 위한 행정의 합리화

    3. ‘足食’을 통한 ‘養民’과 그 방책

    4. ‘足兵’을 통한 ‘國防’과 그 대책

Ⅴ. 맺는 말

 
연구결과

 

양성지는 세조집권과정에 있었던 정치적 혼란을 수습하고, 조선개국의 초심으로 돌아가 빠른 국정의 안정을 희망했다. 그는 정치의 목적을 ‘愛民’에다 두고, 이를 달성하기 위한 정책노선을 ‘足食’과 ‘足兵’으로 설정하고, 여러 가지 대책을 제시하였다. 그는 조선의 주체성을 강조하는 역사관을 가지고, 세종 이래의 문물전장사업을 완성하는데 적극 기여하였으며, 유교사상을 도덕론적 차원에서 단선적으로 파악하지 않고, 관중의 사상, 황노사상, 법가의 사상 등을 포괄한 역사적 경험 속에서 통치의 지혜를 구하고자 하였다. 특히 왕권의 강화와 剛明한 군주에 의한 ‘애민’의 정치를 구현하고자 하였다.

 
참고문헌

기타

기타: 내용으로 구성
내용
TOP
전체메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