결과보고 요약문

결과보고 요약문: 과제구분, 과제코드, 연구과제명, 연구책임자, 공동연구자, 연구기간, 연구형태, 연구목적 및 배경, 연구방법 및 내용, 연구결과물 세부 목차, 연구결과, 참고문헌, 로 구성
과제구분 한국학 기초연구/단독논문게재형과제
과제코드 2005-29
연구과제명
  • 국문 : 『易經』의 泰卦와 否卦의 相反相成의 論理
  • 영문 : -
연구책임자 김경일
공동연구자
연구기간 2005-04-22 ~ 2005-11-30 연구형태 문헌
연구목적 및 배경
연구방법 및 내용

 

역은 우주의 모든 변화를 음양의 대대관계에서 역동적 상호작용이 자기 전개로 해석하고 있다. 이것은 음양을 한 氣의 자기운동으로 보는 인식으로, 이 세계를 유기적 구조로 파악하는 것이다. 개개 사물의 특질을 인정하는 동시에 모든 것을 내표하는 통합체 속에서 차이가 모두 상대적임을 역은 적시하고 있다. 그리고 역은 끊임없이 生生不息하며 순환하는 우주의 모습을 표상하고 있다. 또 더 나아가서 이러한 자연인식 체계를 통하여 인간의 삶의 원리를 역은 서술하고 있다. 이 순환법칙에 의거하여 泰卦와 綜卦인 否卦, 否卦의 綜卦인 泰卦의 相反相成의 論理를 추구하고자 한다.

 
연구결과물 세부 목차

1. 서론

2. 泰卦의 相通의 法理

3. 否卦의 不通의 法理

4. 결론

 
연구결과

하늘과 땅은 『易經』에서 건곤 이외에 다른 괘들에 따라 작용하는 것이다. 건곤의 体을 기본으로 하여 泰·否가 작용하여 많은 변화와 생성이 이루어진다. 泰·否가 만물의 交感, 相蕩, 相錯, 相綜하여 천지 만물은 생성 변화가 일어나고 지속된다. 이는 끝이 아닌 끝으로 끊임없이 순환하는 이치를 상징적으로 나타내고 있는 것이다.

태괘와 비괘는 서로 꼬리를 물고 끊임없이 순환 이치를 이룬다. 그러므로 태괘의 相通, 相交인 相成과 비괘의 不通, 不交인 相反은 生生不息하는 순환의 논리를 나타내고 있는 것이다.

 
참고문헌

기타

기타: 내용으로 구성
내용
TOP
전체메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