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제구분 | 한국학 기초연구/단독논문게재형과제 | ||
---|---|---|---|
과제코드 | 2005-34 | ||
연구과제명 |
|
||
연구책임자 | 김종명 | ||
공동연구자 |
|
||
연구기간 | 2005-04-22 ~ 2005-11-30 | 연구형태 | 자체 단독 |
연구목적 및 배경 | |||
연구방법 및 내용 | 『고려대장경 2004』는 한국의 국보인 『고려대장경』의 최종 전산화본이다. 이 연구에서는 동아시아불교 연구와 관련, 이 전산화본이 가진 장단점을 검토하는 데 있었다. 특히, 사용시의 기술적인 문제들은 이 논문의 논의 대상은 아니며, 최종 사용자 입장에서 이 전산화본의 장단점을 분석하는 데 중점을 두었다. |
||
연구결과물 세부 목차 |
Ⅰ. History of the Digitization of Classics in Korea
Ⅱ. Benefits from the DTK 2004 1. The Revival of the Original Text 2. More Useful Functions 3. Potential Contribution to Cultural Sciences
Ⅲ. Challenges to the DTK 2004 1. Lack of a Manual and Photo-images 2. Limited Access to Browsers 3. No Links or Mark-ups 4. Use of Mixed Romanization 5. No Further Editorial Effect
Ⅳ. Future Directions for the DTK 2004 1. Participation of a Wide Range of Specialists 2. Establishment of Better Planning 3. Setting up of Standardization 4. Maintenance of High Quality 5. Economics of the DTK 2004
|
||
연구결과 |
이 논문은 4장으로 구성되어 있다. 제1장에서는 한국학 연구 자료들에 대한 전산화 역사, 제2장에서는 원문 검색의 편리성, 전산화된 불교사전 및 용어 사전들의 활용성, 문화학에서의 다양한 기여 가능성의 측면에서 『고려대장경 2004』가 가진 학문적 효용성이 분석되었다. 제3장에서는 그 전산화본이 가진 문제점을 검토하였으며, 인쇄 매뉴얼과 대장경 목판본 이미지 결핍, 최종 사용자인 불교학자들의 견해가 제대로 반영되지 못한 점, 관련된 다른 웹사이트들과의 링크 없음, 영문 표기 시 한글로마자법 미 준수, 추가 편집 등을 비롯한 추후 계획이 없는 점 등이 문제점들로 지적되었다. 제4장에서는 이 전산화본의 발전적 미래를 위해 다양한 분야의 전문가 참석, 면밀한 목표와 계획, 표준화 정립, 고품질 유지, 지속적 예산 확보의 필요성이 제시되었다. 결론적으로, 『고려대장경 2004』가 동아시아 불교학연구에 실질적인 도움이 되기 위해서는 전문가 그룹에 의한 지속적인 교정 작업과 정부 차원의 인프라 지원이 필수적임을 주장하였다. |
||
참고문헌 |
내용 |
---|